경제·금융

노서호 기아그룹 기획조정실상무­일문일답

◎“특수강·기산 재무구조 부실해 자산매각 결정/30일 금융기관회의서 회생 가능성 판단할것”다음은 노서호기아그룹 기획조정실상무와의 일문일답. ­왜 주력 4사의 자산만 매각하기로 했는가. ▲기아특수강과 (주)기산의 재무구조가 가장 부실하기 때문이다. 이들 회사의 자구노력이 가장 시급하다. 자구노력계획서는 부도방지협약대상기업으로 지정된 18개사가 개별적으로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에 제출할 것이다. 현재 아시아자동차 특장부문과 주조공장외에 구체적인 자구계획은 마련돼 있지 않다. ­부도유예기간 2개월이 지나면 경영이 정상화될 것으로 보는가. ▲오는 30일 1차 금융기관대표자회의가 열린다. 이 회의에서 기아그룹회생가능성을 판단할 것이며 만약 교환에 회부된 자금에 대해 유예를 준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긴급수혈자금이나 지원금이 풀릴 것으로 보며 노동조합도 결속하고 있고 자체보유한 진성어음도 할인돼 자금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본다. ­해외바이어와 합작선에 대한 대응은. ▲부도유예협약이 발효됨과 동시에 서면으로 충분히 설명했다. 딜러(자동차판매업자)들에 대해서는 지역본부단위로 직원을 파견해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포드와 마쓰다 측에서도 기아와 지속적인 연대관계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다. ­올 8월부터 신차가 선보일 예정인데 계획에 차질은 없는가. ▲이달부터 세피아 후속모델을 비롯해 연말까지 매월 신차를 선보인다는 계획은 그대로 진행될 것이며 그룹위기상황을 맞아 판매에 총력을 쏟을 것이다. 지난 15일 열린 긴급사장단회의에서도 이 내용을 결의했다. 위기를 맞아 더욱 판매에 매진하기로 하는 등 새로운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고객들로부터 계약해지사태가 빚어지고 있다는데. ▲전국의 지역본부장에게 현상황을 충분히 설명하도록 시달했고 고객들의 동요를 막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현대와 대우가 전환사채를 인수했는데 지원약속이 있었는가. ▲두 회사 모두 기아가 넘어지는 것은 안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최고경영층간에도 교감이 있었을 것이다. ­기아의 하루 자금결제규모는 얼마나 되나. ▲은행권에서 회수요구하는 자금이 4천억원이상이다. 그러나 매일 1천5백억∼2천억원을 결제해왔고 경영부실이나 적자지속으로 회생불능상태에 빠진 것이 절대 아니다.<박형준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