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구글 광고가 인종 차별한다고?

하버드대 교수 “흑인 차별 경향”…구글측 반박 성명

구글 검색 광고가 흑인들이 쓰는 이름을 검색하면 범죄 관련 광고를 더 많이 노출시키는 등 인종적 편견을 보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대 라타냐 스위니 교수는 구글 사이트에서 사람 이름으로 검색하면 함께 노출되는 광고 유형을 분석했다. 그 결과 통상 흑인이 쓰는 이름으로 검색하면 전과 기록 관련 광고가 나타나는 확률이 그렇지 않은 이름보다 25%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어 흑인들이 자주 쓰는 르로이(Leroy), 카림(Kareem), 케이샤(Keisha) 같은 이름으로 검색하면 ‘체포됐는가?’라는 제목의 전과기록 확인사이트 광고가 뜨는 경우가 잦다.

관련기사



반면 브래드, 루크, 케이티 등 일반적인 이름으로 검색하면 더 일반적인 내용의 광고가 뜨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니 교수는 이러한 현상이 우연의 일치일 확률은 1% 이하라며 “이러한 광고 전달에서 차별이 존재했다”고 밝혔다. 또 차별의 원인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이용자의 검색 행태에 기반한 구글 알고리즘이 한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

이에 대해 구글 측은 성명을 내고 어떠한 인종 관련 정보도 수집하지 않고 있으며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나 조직에 반대하는 광고는 허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구글 광고주가 검색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어 어떤 검색어를 치면 어떤 광고가 나타나게 할지는 개별 광고주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