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승인신청 먼저 받고 실제 분양은 내년에

시장침체로 건설업체들 공급전략 수정

업체들이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피하기 위해 분양승인신청을 서두르면서도 정작 분양 시기는 내년으로 잇따라 미루고 있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시에 한남동 아파트개발사업을 위해 건축계획심의를 신청 중인 금호건설은 11월 중 분양승인을 신청하되 실제 분양은 내년 2~3월 정도로 늦출 계획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11월 중 분양승인신청만 하면 된다는 입장”이라며 “전반적인 시장 흐름을 지켜본 뒤 최종 분양시기를 결정하겠지만 최소한 연내 분양에는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림산업 역시 뚝섬상업용지 주상복합 분양시기를 내년 초로 잡아놓고 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 전에 승인을 받기는 하겠지만 굳이 대선 정국으로 어수선한 연말에 분양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3.3㎡당 4,000만원이 넘는 사상 최고가 분양이라는 점도 이 회사가 분양시기를 내년으로 미루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GS건설의 용인 성복동 아파트 사업도 현재 ‘11월 분양승인’이라는 원칙만 정해져 있다. 이미 몇 차례 분양이 미뤄진 마당에 분양을 서두르기보다는 가능한 한 좋은 시장 분위기 속에서 아파트를 내놓겠다는 속내다. 미분양 적체로 시장전망이 불투명한 지방에서는 업체들이 분양시기 조율에 더욱 고심하는 분위기다. 부산 우동에 1,600여가구의 대규모 주상복합을 건립할 예정인 현대산업개발 역시 당초 연내 분양 방침을 바꿔 내년 상반기로 분양시기를 늦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부산 명조ㆍ신호지구에 3차분양물량 3,600여가구 전량을 공급할 방침이었던 영조주택 역시 일단 연내 분양물량을 900가구 정도로 줄이고 나머지는 분양시기를 내년으로 미룰 계획이다. 업체들이 11월 중 분양승인이 가능함에도 이처럼 분양시기를 대거 미루는 이유는 간단하다. 시장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굳이 ‘무리수’를 두지 않겠다는 것이다. 은평뉴타운ㆍ파주신도시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분양가상한제 단지들과 경쟁을 피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A사 관계자는 “분양가상한제 단지들과 비슷한 시기에 분양할 경우 수요자들의 관심이 분산될 수 있는 게 사실”이라며 “특히 분양가가 높은 단지일수록 분양시기에 대한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선이 끝나면 집값 상승에 대한 수요자들의 기대감이 커지지 않겠느냐는 기대심리도 분양시기 조율의 이유다. 각 대선 후보들마다 차이가 있지만 참여정부의 부동산정책을 어느 정도 완화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시장상황이 개선될 것이란 분석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보다는 내년 초가 시장상황이 나을 것이란 게 업계의 공통된 전망”이라며 “이 때문에 내년 초부터 신규분양물량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