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쌍용건설 정상화 3대 불안요인

지원자금 바로 부실채권 전락… 충당금 늘어<br>군인공제회 대출금 600억 상환 요구<br>캠코 CB인수 무산 땐 추가 지원해야

기업회생절차(워크아웃) 중인 쌍용건설의 경영정상화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채권단은 4월26일 공개된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자금 2,900억원을 투입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오는 10일로 예정된 채권단 동의 절차를 거쳐 실제 자금 집행이 이뤄지려면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쌍용건설 정상화를 가로 막는 3대 불안요인을 짚어봤다.

①원하자마자 부실채권


현재 쌍용건설 여신은 고정이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분류돼 있다. 돈을 빌려주면 다시 되찾기 힘든 부실 채권이라는 얘기다. 여기에 바로 채권단의 딜레마가 있다. 경영정상화 이행 계획에 따라 쌍용건설에 신규자금 2,900억원을 투입하는 즉시 채권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상승한다. 충당금도 다시 쌓아야 한다.

이미 쌍용건설 때문에 수백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한 바 있는 채권단으로서는 부담이다. 실제 3월 말 기준 우리·신한·KB·하나 등 4대 금융지주의 총 여신에서 고정이하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은 1.59%로 석 달 전보다 0.14%포인트 올랐다. 이들 은행은 모두 쌍용건설 채권단이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자산 건전성을 생각해야 하는 은행 입장에서는 부실채권 비율이 올라가는 것이 달갑지가 않다"면서 "채권단이 겉으로는 쌍요건설에 대한 신규 자금지원에 공감하면서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데 주저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②군인공제회 PF대출금 상환 유예될까


경기도 남양주의 프로젝트피이낸싱(PF) 대출금 상환을 요구하는 군인공제회와의 갈등도 쌍용건설 정상화를 가로막는 불안요인이다. 군인공제회는 이 PF에 1,140억원을 빌려줬는데 최소한 절반 이상의 금액을 돌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채권단은 군인공제회가 PF대출금 전액에 대해 상환을 유예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군인공제회가 중간에 대출금을 회수해가면 채권단의 신규자금 지원이 아무런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채권단의 관계자는 "채권단은 쌍용건설에 부족한 운영자금과 납품대금 지원 목적으로 신규 자금을 투입하려고 하는데 군인공제회가 중간에 돈을 빼가면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꼴이 된다"면서 "군인공제회에서 쌍용건설이 정상화될 때까지 PF 대출금 전액에 대해 상환을 유예해줘야 우리도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③캠코 700억원 영구전환사채(CB) 인수 여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700억원 규모의 영구전환사채(CB)를 인수할지 여부도 주목된다. 채권단은 캠코가 보유한 쌍용건설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을 영구 CB로 전환해줄 것을 요구 한 상태다. 자금지원 계획도 캠코의 CB 인수를 전제로 설계했다. 하지만 현 상황만 놓고 볼 때 캠코가 CB 인수에 나설 가능성은 매우 낮다.

캠코는 공사법상 CB 인수로 특정 기업을 지원할 근거가 없다며 지원 불가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여기에 금융감독원도 최근 채권단에 경영정상화 계획에서 캠코의 CB 인수 부분을 뺄 것을 권고하면서 사실상 캠코의 손을 들어줬다.

이는 그만큼 채권단이 부담해야 할 몫이 늘어난다는 뜻이다.

당초 실사 결과 쌍용건설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신규자금은 3,600억원이었다. 하지만 채권단은 캠코가 CB 700억원을 인수하는 것을 전제로 신규자금 지원 규모를 2,900억원으로 줄였다. CB가 자본으로 인정받으면 추가 출자전환 부담도 1,500억원에서 800억원으로 줄어드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캠코의 CB 인수가 무산될 경우 채권단은 당초 계획보다 1,400억원을 더 내놓아야 하는 셈이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