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시중銀, 18일 금감원 징계수위에 촉각

시중은행들이 오는 19일 열리는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번 제재심의위에선 국민은행 및 통화옵션상품인 키코 판매은행에 대한 징계 내용과 수위가 결정된다.


이 두 사안은 그 동안 제재 절차가 지연되거나 수 차례 연기될 정도로 큰 논란을 일으킨데다 징계결과에 따라 금융권 전반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아 은행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국민은행의 경우 강정원 전(前) 행장을 비롯한 전ㆍ현직 임직원 100여명에 대한 무더기 징계가 예고된 상태다. 금감원은 지난 1~2월 42명의 검사역을 투입해 ▦국민은행의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 지분인수 ▦10억달러 규모의 커버드본드 발행 ▦영화제작 투자손실 등을 포함해 법규위반 내용을 집중적으로 검사했다.

금감원은 검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달 29일 20여명에게 중징계, 80여명에게 경징계 방침을 통보했다. 등기이사인 임원은 문책경고 때 3년간, 업무정지 때 4년간 금융회사의 임원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강 전 행장이 중징계를 받으면 금융권 복귀가 사실상 힘들게 된다.

부행장이나 본부장 등 일부 간부도 중징계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경우에 따라 이들은 승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키코 판매에 대한 징계도 이날 결정된다. 금감원은 지난해 9월 제재 심의를 연기했다가 지난 7월 재개해 두 차례 심의를 했음에도 결론을 내지 못했었다. 금감원은 은행이 기업과 키코계약을 체결한 뒤 다른 금융기관과 헤지 목적의 반대거래를 하는 과정에서 고위험 상품에 투자해 손실을 입은 것에 대해 징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