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日조선업계 구조조정 성공후 자신감 "옛 명성 되찾자"

미쓰비시등 대형조선소 1분기 일제 흑자반전<br>선박건조 비용측면등 "한국과 경쟁 승산있다"<br>긴장 늦추지말고 국내업체도 첨단선박 개발을



일본 조선업계가 조선왕국의 옛 명성을 되찾겠다고 나선 것은 최근 몇 년간의 구조조정으로 탄탄한 내부실력을 갖춘데다 엔화 약세로 가격경쟁력을 갖췄다는 자신감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이에 대해 “일본의 기술력이 워낙 뛰어나 벌크선 등 일부 분야에선 다시 밀릴 수도 있다”며 잔뜩 경계하는 분위기다. 특히 향후 세계 조선시장이 불황에 접어들 경우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3국은 출혈경쟁에 휩싸일 것으로 우려된다. ◇일본, 조선맹주의 야심 키운다=일본 조선업체들은 내수회복과 엔저 효과에 따른 수출호조에 힘입어 최근 실적이 급속도로 개선되자 설비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말 우려와는 달리 조선 시황도 호황을 이어가자 설비합리화에 머물던 조선소들이 앞다퉈 노후된 설비를 교체하거나 블록공장 짓기에 나선 것이다. 지난해 적자를 나타냈던 미쓰비시중공업과 가와사키중공업ㆍ유니버설조선 등 일본의 대형 조선소들은 올 1ㆍ4분기(4~6월)에 일제히 흑자로 돌아설 전망이다. 미쓰비시조선은 20억엔의 영업이익을 거둬 5분기 만에 흑자로 돌아서게 되며 가와사키중공업도 30억엔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3분기 만에 흑자를 거둘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 조선소들은 올해부터 선가 상승 이후의 선박이 매출에 반영되기 시작하고 설비합리화와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확신하고 설비확대에 속속 나서는 것이다. 국내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본 조선업계는 지난해 신조 선박의 건조량이 1,810만톤을 기록, 전년 대비 10.2% 늘었으며 역대 최고 기록인 지난 75년의 1,699만톤을 웃돌았다”면서 “이 같은 경기회복과 실적개선에 힘입어 설비확대가 속속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과의 경쟁력 격차는=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조선업계가 한국과의 경쟁에서 승산이 있다고 판단해 설비확대에 나섰다고 분석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동안 일본에서는 조선소 현장 근로자의 부족과 고임금, 협소한 조선소 부지, 일반선종에 치우친 수주 등으로 한국과의 경쟁을 포기하다시피 했지만 최근에는 선박건조 비용 측면에서 한국과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는 얘기로 풀이된다. 실제로 한국의 원화 강세가 지속되는 반면 일본 엔화는 약세를 이어가 일본 선박의 수출가격 경쟁력이 높아진 실정이다. 또 일본 조선소들은 인력감축과 임금삭감 등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생산효율성을 높여 한국과의 비용 격차를 최대한 줄였다는 게 일본 선박업계의 분석이다. 이와 함께 70년대 말 이후 정부의 규제 아래 두 차례나 생산설비를 줄일 수밖에 없었던 일본 조선업체들은 최근 수주물량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생산설비 확충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 업그레이드 절실=이처럼 일본 조선업체가 과거와는 달리 공격적으로 설비확대에 나서자 중국 조선업계와 국내 중대형 및 신생 조선소들은 위협을 느끼게 됐다. 일본이 벌크선을 중심으로 한 일반선종을 주로 건조하고 있기 때문. 다만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ㆍ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빅3’ 조선업체는 일본의 약진에 다소 느긋한 편이다. 이들 빅3의 주력업종인 LNG선이나 대형 컨테이너선, 해양플랜트 등과 겹치지 않아서다. 한 조선업체 관계자는 “일본 조선업체가 국내 대형 조선소의 주력선종에 뛰어들자면 생산설비뿐만 아니라 대형 도크를 갖춘 대규모 조선소를 세워야 한다”면서 “크레인이나 블록공장의 증설만으로 일본 조선업계가 국내 대형 조선소에 위협적인 존재로 떠오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본이 세계 1위의 건조기술과 경쟁력을 갖고 있는 벌크선 등 일반선종에서 일본의 최근 움직임은 국내 중대형 조선소와 중국 조선업체를 긴장시키기에 충분하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국내 조선업체들이 크루즈선이나 쇄빙선 등 첨단선박 개발에 적극 뛰어들고 고급 기술인력 개발에도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국도 과거 일본처럼 마음 놓고 있다간 또다시 1위 자리를 빼앗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