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계대출 증가폭 줄었지만 다시 폭증할수도

콜금리 인하에 따른 은행들의 대출금리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가계대출 증가폭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 달 들어 지난 20일까지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9,000억원으로 지난달 같은 기간과 전년 동기 증가액 1조원과 2조9,000억원에 비해 각각 1,000억원과 2조원이 적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달 13일 단행된 콜금리 인하에 따른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등 대출금리 하향 조정폭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가계대출 수요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올들어 매달 1일부터 20일까지의 가계대출 증가액을 보면 8,000억 감소를 기록한 1월을 제외하고는 2월 1조1,000억원, 3월 9,000억원, 4월 1조원 등으로 가계대출이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금 종류별로는 직접적인 금리 인하가 이뤄졌던 주택담보대출이 7,000억원 늘어 지난달 같은 기간의 8,000억원 보다 증가폭이 1,000억원 감소했고 신용대출 등 기타는 4,000억원 많아져 지난달과 비슷했다. 할부금융사의 카드채권 매입에 사용된 수요자 금융도 2,000억원 감소를 기록, 지난달과 같은 감소폭을 유지했다. 올들어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가계대출이 지난해 처럼 다시 폭증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병윤 연구위원은 26일 보고서를 통해 “1ㆍ4분기 순이익이 급감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들이 유일한 흑자 부문인 가계대출을 늘릴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에 대한 당국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SK글로벌에 대한 은행들의 충당금 적립비율이 20%에 미치지 못하는데다, 최근 실사결과에 따른 추가 충당금 적립부담으로 당분간 은행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카드를 제외할 경우 가계대출의 자산건전성도 비교적 높아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늘릴 유인요소가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금리인하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다시 과열되고 있어 가계의 대출수요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또 “지난 해 말 현재 GDP(국내총생산)대비 가계신용이 73.6%에 달해 이미 선진국 수준에 이른 데다, 최근 성장률 저하를 감안할 때 더 이상의 가계대출 급증은 우리 경제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감독당국의 선제적 모니터링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관련기사



조의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