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객선 침몰 대참사] 천안함 5배 무게… 인양 1~2개월 걸릴 듯

해상크레인 18일부터 도착

침몰한 세월호의 인양작업에는 1~2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세월호의 무게가 천안함의 5배가 넘는데다 물살이 빨라 인양작업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특히 파도나 날씨 변수 등을 감안하면 이보다 더 걸릴 수도 있다.

17일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대우3,600호(3,600톤급), 삼성중공업 삼성2호(3,600톤급), 해양환경관리공단 설악호(2,000톤급) 등 해상 크레인 3척은 18일 오전부터 순차적으로 도착해 세월호 인양을 위한 준비작업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상 크레인 3척은 지난 16일 오후8시쯤 경남 거제와 진해에서 출항했다.


세월호를 쇠줄로 묶은 다음 대형 크레인 3대를 이용해 한번에 들어올리는 방안이 유력시되고 있다. 3,000톤급 크레인 3~4척이 균등한 힘으로 세월호를 들어올려야 인양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하지만 변수는 많다. 2010년 침몰한 천안함이 1,200톤급인 데 비해 세월호는 이보다 5배가 넘는 6,800여톤급이다. 천안함은 선체가 두 동강이 나면서 인양작업 당시 중량 부담도 줄었지만 세월호는 선체가 온전한 상태여서 인양작업에 어려움이 예상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세월호 안에 들어찬 화물과 자동차, 바닷물의 무게만 1만톤 이상 될 것이라는 추정도 작업을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번 사고지점의 수심은 깊고 물살도 빨라 인양작업의 큰 변수가 될 수 있다. 천안함의 침몰지점은 수심 25m였지만 세월호의 침몰 수심은 최고 37m에 달한다. 세월호가 침몰한 진도 해역은 천안함이 침몰한 서해보다 물살이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선체 인양을 위한 잠수부의 케이블 연결작업은 물살이 잦아드는 정조 시간대 수중에서 이뤄지는데 진도 해역은 물살이 빨라 작업시간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가 180도 가까이 뒤집힌 채 침몰한 것도 인양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거꾸로 뒤집힌 V자 형태의 선박구조로 잘못 들어올렸다가는 추락할 위험성이 있어 인양을 위해 배의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서용환 대우조선해양 전문위원은 "천안함의 경우에는 함미와 함수가 분리돼 각각 인양작업을 진행했지만 세월호는 크레인 3~4대가 동시에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