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인력난 일본 기업 "장기근속자 늘려라"

비정규직 → 정규직 속속 전환·기존 직원 투자도 늘려

일본 기업들이 장기 근속자를 늘리기 위한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근로 인력의 급감으로 인해 ‘인력 쟁탈전’이 치열해진 탓이다.


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일본 저출산 재앙이 인력부족으로 현실화, 기업의 대응책은?’ 보고서에 따르면유니클로, 세이유(西友) 등은 최근 잇따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QB하우스(이미용), 오바야시구미(大林組·건설), 카오오(花王·화학플랜트) 등은 입사 5년 미만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이전까지 일본 기업들은 비정규직 채용을 늘려 인건비 부담을 최소화했지만, 인력 부족이 심화되면서 장기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베 정권이 집권한 후 일본의 경제 회복세가 관측되고 있지만, 저출산으로 인한 인력난은 현재 1992년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일본 기업들이 이직·퇴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근로자들에게 정규직 전환과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등 장기근속 체계를 제시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일본의 실업률은 3.5%(5월 기준)로 자연실업률 수준이며, 유효구인배율(구인자 수를 구직자 수로 나눈 수치)이 1.09배로 1992년 6월(1.10배) 이후 최고치다. 1990년대부터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이어진 끝에 일본의 생산가능인구는 7,900만명(62%·2013년 기준)까지 줄어들었다. 이미 인력난에 시달리는 일부 업종에서는 공기·납기 지연, 영업시간 단축 등의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