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흥진 할리우드 통신] 70년 만에 허스트 캐슬서 상영

美 언론 재벌 허스트 모델로 만든 '시민 케인'

할리우드의 기인 오손 웰스가 미국 역사의 한 괴물인 언론재벌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를 모델로 만든 '시민 케인'(Citizen Kane․1941)은 영화가 다변한 언어이며 개인적 예술적 표현의 용솟음치는 분출구라는 사실을 보여준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26세의 웰스가 제작 감독 주연하고 각본(허만 J. 맨키위츠와 공동)까지 쓴 이 영화는 천재 웰스의 대담한 개혁정신과 실험정신이 천둥번개 치듯 창조된 작품으로 지금까지도 전 세계 영화비평가들로부터 영화 사상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이 영화는 특히 허구의 언론재벌인 찰스 포스터 케인이 여러모로 실제 인물인 허스트를 그대로 닮아 큰 화제가 됐었다. 186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난 허스트는 절정기에 29개의 신문, 15개의 잡지 그리고 8개의 라디오 방송국을 소유했던 언론제국의 황제로 지난 1951년 88세로 사망하기까지 반세기 동안 미국인들의 사고방식은 물론이요 미 정계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었다.

영화속의 케인의 개인적 면모나 사생활 그리고 그의 저택까지 허스트의 그것들을 쏙 빼닮자 허스트는 영화가 개봉도 되기 전부터 부와 권력을 총동원해 개봉을 저지하려고 애썼었다.

허스트는 자기 신문에 '시민 케인'의 광고를 못 내게 하는가 하면 영화 필름을 불태워 버리기 위해 할리우드의 동지를 동원, 필름의 원본을 매입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그런데 아이러니컬하게도 '시민 케인'이 나온 지 70년만이요 허스트가 사망한지 60년만인 지난 9일에 이 영화가 샌루이스 오비스포 영화제의 일환으로 허스트 캐슬에 설치되는 5층 높이의 스크린에 상영됐다. 더 역설적인 것은 영화의 허스트 캐슬 상영을 전격적으로 후원하고 있는 것이 허스트 가족 측이라는 점.

관련기사



허스트의 증손자 스티브 허스트는 영화 상영을 통해 자기 할아버지와 케인이 같은 사람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는 것이 허스트 가족 측의 뜻이라고 최근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스티브는 자기 할아버지는 웰스가 표현한 편집국에서 기자들과 함께 춤을 추는 외향적인 케인과는 거리가 있는 사람이었다면서 특히 영화와 실제가 크게 다른 점으로 허스트의 정부 매리온 데이비스가 모델인 영화 속 수전을 들었다.

영화에서 수전(도로시 카밍고어)은 술에 절은 서푼짜리 오페라 가수로 케인의 허영과 야망에 밀려 오페라 무대에 섰다가 비참한 실패를 한다. 그러나 데이비스는 코미디에 뛰어난 실력파 배우였다.

허스트가 '시민 케인'의 개봉을 결사적으로 막으려고 한 가장 중요한 이유가 데이비스에 대한 이런 그릇된 묘사에 분개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또 영화에서 케인은 '로즈버드'(어렸을 때 케인의 썰매 이름)라는 마지막 말과 함께 쓸쓸히 혼자 죽지만 허스트는 자기와 데이비스가 함께 산 베벌리힐스의 저택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사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