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에 원자재가격 리스크를 헤지(회피)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원자재가격과 납품가격 연동계약을 확대하거나, 원자재 공급 업체들에게 가격변동을 사전에 알려주는 사전예고제 시행을 촉구하는 등 향후 재발할 수 있는 원자재파동에 대비하고 있다.
이는 최근 원자재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위험회피 수단이 없어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했던 중소기업들이 원자재파동을 계기로 위험성을 인식하고 개선에 나선 것이어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중소기업의 내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철강, 비철금속 관련 업계는 새로운 계약을 체결할 때 LME(런던금속거래소), NASAAC(북미특수알루미늄합금기준가) 등 국제 원자재가격과 납품가격을 연동시키는 조항을 삽입하고 있다. 또 이를 거부하는 바이어와는 계약을 맺지않거나, 기존 계약을 파기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자동차 부품제조사 대용산업은 원자재파동 이후 모든 계약서에 원자재가격과 납품가격 연동조항을 삽입하고 있다. 이 회사는 그 동안 원자재가격과 납품가격을 연동한 생산액이 전체의 30%에 불과했지만, 이번 원자재파동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으면서 이를 전분야로 확대했다.
김남진 이사는 “매 분기 혹은 1년 단위로 원자재가격을 반영하거나, 원자재 가격이 5%이상 변동했을 때 이를 반영하는 조항을 계약서에 삽입하고 있다”면서 “이번 원자재파동 이후 계약서에 연동조항을 공식적으로 삽입하기를 원하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인쇄회로기판(PCB)용 전해동박 국내1위 생산업체인 일진소재산업은 무게단위로 고정되어 있던 납품가격기준을 올 초부터 LME 의 수입 구리가격으로 변경시켰다. 대부분 계약이 작게는 2~3개월이나 6개월 전에 공급물량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에 최근 같은 원자재 급등시기에 원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공급계약을 변경한 것이다.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은 제지업계에 원지 가격을 올릴 경우 1개월 전에 미리 알려주는 `사전예고제`를 요청해 조만간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포장업체 등 조합 회원사들은 원지업체들의 가격인상 혹은 인하에 어느 정도 미리 대비할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최근 유가급등으로 부산, 울산 지역의 정밀화학 등 중소 유화 업체들도 최근 들어 나프타 가격에 연동해 국제 납품가를 연동하는 공급계약 갱신을 추진중이다. 특히 이들은 아예 싱가포르 현물시장의 원유가를 직접 단서조항으로 다는 계약도 제시하고 있다. 원유가 행진이 워낙 가파르다 보니 공급받는 업체들도 이를 대체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김득갑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현재 원자재 가격상승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일시적인 대응책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면서 “계약조항에 원자재가격 연동조항 삽입 등의 대책은 고통분담차원에서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원자재 수급통로가 다양하고 가격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정부가 주요 원자재 가격을 사전에 예고해 혼선을 없애는 등의 제도적인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형기자 kmh204@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