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대 총장, "총리직 수락은 탐욕의 길" 거부 의사

적자생존 원리따라 대학 상시 구조개혁 필요

/=연합뉴스

성낙인 서울대 총장이 대학교육 정책에 적자생존의 원리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등급을 낮게 받은 대학은 상시적으로 퇴출되는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성 총장은 최근 이완구 전 국무총리 낙마에 따른 후임 총리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것과 관련해 "(총리직 수락은) 스스로 탐욕의 길로 들어서는 것"이라며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관련기사



성 총장은 2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세미나에서 "대학 진학자가 60만명에서 앞으로 30만명까지 줄어드는 상황에서 도태되는 대학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적자생존의 원리가 대학사회에도 정부 교육정책에도 강하게 드러나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패널로부터 대학평가가 타당하냐는 질문을 받고서다. 그는 "누구나 만점을 받을 수 있는 평가는 적절하지 않다"며 "정원을 줄여야만 하는 상황에서 대학에 주는 인센티브는 재정적 뒷받침인데 이게 나눠 먹는 식이 돼야겠느냐"고 말했다. 각 대학에서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대학평가에 임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에서 대학평가의 불가피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한 셈이다. 다만 성 총장은 누구라도 피하고 싶어 할 대학 구조조정을 납득시키기 위해서는 엄격한 평가 잣대가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성 총장은 이어 후임 총리 하마평과 관련해 "평생의 유일한 직업이 대학 교수"라며 "서울대 총장 외에 (총리 등) 다른 공직에 나서는 것은 스스로 탐욕의 길로 들어서는 것"이라며 강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