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제조업체 100개 중 76개는 영세업체

전체 제조업에서 영세업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76%에 달해 제조업의 영세화 정도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같은 제조업의 영세화 심화가 종업원들의 소득 양극화와 맞물려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동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5일 '제조업의 양극화와 중소기업의영세화 실태에 관한 실증분석' 보고서에서 1980∼2003년 광공업통계자료 등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밝혔다. 종업원수 20인 미만 영세업체가 종업원수 5인 이상 제조업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사업체수 기준으로 1980년 59.6%에서 2003년 75.9%로 증가했다. 생산액 기준으로도 같은 기간 3.6%에서 12.2%로 증가했다. 또 이들 영세업체에서 일하는 종업원수가 전체 제조업 종업원수에서 차지하는비중도 1980년대 후반까지는 10% 안팎의 수준을 유지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2003년에는 27.3%로 높아졌다. 반면 종업원수 300인 이상 대기업의 종업원수 비중은 1980년 50.9%에서 2003년22.9%로 급감, 대기업의 구성비 감소분이 대부분 영세업체 또는 소규모업체로 흡수돼왔다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1990년대 이후 대기업들은 높은 연구개발투자와 국제 부품시장에 대한 접근을바탕으로 높은 생산성 증가를 달성한 반면 소기업과 영세업체들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경쟁력 저하와 낮은 생산성 증가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소기업의 영세화 심화가 종업원들의 소득양극화로 연결됐다고 지적했다. 1980∼2003년중 종업원 1인당 평균 명목 노동소득 증가율에서 대기업은 14.4%,중기업(종업원 50∼299명)은 12.7%, 소기업(종업원 20∼49명)은 11.9%, 영세업체는11.0% 등을 기록했다.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종업원들의 노동소득 증가율이 낮았다는 결과다. 이에 따라 2003년 현재 대기업 종업원의 1인당 평균 노동소득을 100으로 하면중기업 종업원은 60, 소기업은 50, 영세업체는 40의 수준에 그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