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盧 전대통령 재산 임기중 5억 늘어

참여정부 고위직 재산신고 내역<br>퇴임때 9억7,224만원 신고…대부분 1억~2억이상 불어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산이 9억7,224만원으로 재임 5년 만에 5억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보에 공개한 ‘참여정부 고위 공직자의 재산신고 내역’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은 지난 2월25일 퇴임 당시 9억7,224만여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2006년 말에 신고한 8억7,077만원보다 1억147만원(11.7%), 취임 당시인 2003년 초보다 5억원 가량 늘어난 것이다. 신고 내역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이 퇴임 후 살고 있는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사저의 재산가액은 10억6,155만여원(신축 중도금 8억8,056만원ㆍ대지가액 1억8,099만원)이며 본인ㆍ가족 명의의 예금 일부와 금융기관 대출(4억6,700만원)로 공사비를 조달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재산이 32억8,308만여원으로 11개월 만에 1억5,179만원 늘어났다. 비슷한 기간 문재인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부산 강서구 소재 대지ㆍ창고 등을 팔았고 재산이 8억7,340만여원으로 2,164만원 줄었다. 참여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뒤 퇴직한 공무원들이 신고한 재산도 부동산 가격 상승, 급여저축 등에 힘입어 대부분 직전 신고일(2006년 말 또는 임명일)보다 1억∼2억원 이상 불어났다. 참여정부 마지막 국무위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은 정성진 전 법무부 장관은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1년2개월 사이 재산(약 107억원)이 12억원가량 불어났다. 본인ㆍ배우자 명의의 경기 평택시 밭ㆍ임야와 서울 강서구 대지(합계 약 92억원)가 11억여원, 골프ㆍ헬스ㆍ콘도미니엄 회원권 6개(약 7억원)가 2억여원 오른 덕분이다. 반면 예금(4억여원)은 제세공과금ㆍ생활비 사용으로 2억여원이 줄었다. 고위 공직자 가운데 대표적인 부동산 부자인 이철 전 한국철도공사 사장은 총 재산가액이 113억7,471만원으로 10억원가량 불어났다. 이종백 전 국가청렴위원회 위원장은 본인 명의의 아파트(서울 강남구) 두 채가 47억원으로 13억여원 오른 데 힘입어 재산가액(61억4,073만원)이 15억여원이나 증가했다.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은 본인 명의의 상가ㆍ아파트(23억여원)가 5억여원, 김종민 전 문화관광부 장관은 아파트ㆍ건물이 6억2,000여만원, 김우식 전 과학기술부 장관은 본인ㆍ장남의 아파트가 3억8,000만여원, 이택순 경찰청장은 아파트가 2억3,300만원 뛰었다. 공직자윤리법은 퇴직 고위 공직자들이 임명일 등 직전 신고일~퇴직일 사이 발생한 재산 변동사항을 퇴직 1개월 안에 신고하고 윤리위가 신고 내역을 1개월 안에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