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당장 문닫지는 않겠지만 제2의 금강산 사태 우려

■ 개성공단 패쇄하나<br>입주사 피해 2,000억


정부가 개성공단 사태 해결을 위해 북한에 실무회담을 제안하면서 대화 거부시 중대 조치를 취하겠다고 언급해 개성공단 폐쇄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 개성공단 가동 중단이 23일째로 장기화되면서 입주기업의 피해액이 2,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25일 통일부와 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 등에 따르면 남북 간 실무회담이 성사되지 않아 현재의 개성공단 사태가 계속될 경우 정부는 인도주의적인 측면에서라도 개성공단 근로자의 철수를 검토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대 조치 차원에서 개성공단 폐쇄 문제가 검토될 수 있다는 시각도 내놓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정부가 북한의 실무회담 제안 수용을 압박하기 위해 강수를 내놓았지만 천안함 사건 때도 유지됐다는 점에서 당장 폐쇄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럴 경우 제2의 금강산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개성공단이 안정적으로 유지ㆍ발전돼야 한다는 정부의 확고한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피해액이 2,00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관측되면서 관련 기업은 당장 납품기한 파기에 따른 피해 등 보상 받을 길이 없어 속이 시커멓게 타들어가고 있다. 입주업체별로 하루 평균 10억원의 피해를 보는데 123개 기업이니 123억원으로, 23일째 공장가동이 중단되면서 2,000억원이 넘는 피해를 보는 셈이다. 정부 관계자는 "공장 중단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를 포함해 경협보험과 기업과 정부가 그동안 투자한 금액을 감안하면 1조원 이상의 직간접 피해액이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