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5월 5일] 과학적 근거 없는 '광우병 괴담'에 놀아나서야

미국산 쇠고기 개방조치 이후 광우병에 사회적 불안이 증폭되면서 인터넷 등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서명이 이뤄지고 서울도심에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집회가 열리는 등 파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처럼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광우병 불안이 확산되자 이 대통령이 직접 진화에 나서고 정부도 6일 종합대책을 마련하기로 하는 등 대응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 4월 모 방송사에서 광우병 위험에 대한 보도가 나간 뒤 확산되기 시작한 이번 사태는 과학적 근거보다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나아가 반미정서를 선동하고 반정부 시위를 부추기는 정치적 성격으로 비화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앞으로 예상되는 위험성을 전제로 대통령에 대한 탄핵서명이 이뤄지고 합리적인 대책보다는 반미ㆍ반정부 구호까지 등장하고 있는 것은 사회불안을 증폭시키는 정치논리라고 볼 수밖에 없다. 광우병 위험성에 대해 경각심을 갖는 것 자체가 문제될 것은 없다. 그러나 1억마리의 소가 있는 미국에서 지금까지 단 3건밖에 발생하지 않은 문제를 놓고 온갖 추측과 억측이 나도는 가운데 이처럼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쇠고기 수입과 관련한 검역절차 등에서 다소 미심쩍은 부분이 있다고 해서 3억명이 넘는 미국인이 소비하고 전세계 90여개국이 수입하는 미국 쇠고기를 마치 먹기만 하면 광우병에 걸리는 것처럼 과장되고 있는 것은 국제적 망신거리가 될 수도 있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근거가 없는 추측이나 억측에 부화뇌동하거나 사회불안이 증폭돼서는 안된다. 정부도 ‘문제없다’는 말만 되풀이할 것이 아니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신뢰할 수 있는 설명과 실상을 정확하게 알려야 한다. 뼈 한조각 때문에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중단했던 정부가 이제는 아무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입장을 바꿔서는 정책에 대한 신뢰가 생기기 어렵다. 광우병 불안의 근거가 될 만한 요인들을 종합해 하나하나 점검하고 설명할 것은 설명하고 보완할 것은 보완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대책마련에 신뢰할 만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과학적 근거가 없는 괴담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