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승호 송환 장기화 우려…나포 좌표 변수로

북한 당국에 나포된 오징어채낚기 어선 대승호의 나포 ‘좌표’가 변수로 부상한 가운데 남북 당국 간 대치와 기싸움으로 대승호 송환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통일부는 9일 대승호 나포와 관련해 “북한 당국이 현재까지 아무런 공식 통보를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우리 측도 대승호 나포와 관련해 북한 측에 별도의 통지 등 조치를 취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30일 20톤급 연안호가 동해 상에서 북한 경비정에 의해 나포됐을 당시에는 사건 발생 3시간도 채 안돼 남북 해사당국 간 통신선을 통해 북측에 조기송환을 촉구하는 전통문을 발송했었다.

관련기사



대북 전문가들은 정부가 북측에 먼저 전통문을 보내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일부에서는 천안함 사태 이후 남북 대치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양측의 기싸움으로 대승호 송환 문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편 나포 당시 대승호의 좌표가 송환시기를 전망할 수 있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대승호가 북한의 배타적경제수역(EEZ)를 침범했다면 북측의 의도적 나포 가능성은 다소 줄어들고 조기 석방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대승호가 북측의 EEZ를 벗어나 공해상에서 조업하다 나포됐다면 북측이 의도적으로 나포했을 가능성이 높아 송환 장기화가 우려된다.

통일부는 그러나 대승호 나포 소식이 전해진 이틀째인 이날 현재까지도 대승호의 정확한 나포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천 대변인은 대승호가 북한의 EEZ를 침범했는지 여부에 대해 “유관부처와 사실 관계를 파악 중”이라며 “(앞으로) 북한의 반응 또는 입장표명을 주시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해양경찰청은 전날 “동해에서 조업 중 실종된 대승호가 북한의 배타적경제수역으로 추정되는 해상에서 북한 당국에 의해 단속돼 조사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혀 대승호의 EEZ 침범 가능성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