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문화 학생 교육사각지대 없앤다

교과부, 선진화 방안 발표<br>예비학교 26개로 늘려<br>한국문화 교육 집중 지원


"자동차 정비사가 되고 싶은데 한국어를 못하니 기술을 배울 수 없어요. 한국어를 배울 곳도 없어서 집에서 인터넷만 해요."(지난해 12월 입국 중국국적 M군ㆍ17)

이주노동자나 결혼이주민 자녀 중 한국에서 태어나지 않고 부모를 따라 입국했거나 부모의 부름을 받아 뒤늦게 들어온 중도입국자들에 대한 교육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들 중 상당수가 한국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채 아무런 교육도 받지 못하고 사실상 집에 방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일 다문화학생 공교육 진입과 문화 적응을 돕기 위한 ▦예비학교ㆍ다문화코디네이터 운영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 ▦이중언어 교육 등을 내용으로 하는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다문화가정을 내용으로 하는 영화 '완득이'가 최근 흥행하고 외국인 주민 수가 5년간 1.8배로 늘고 외국인 자녀 수도 같은 기간 3.4배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방안에 따르면 우선 다문화학생이 정규학교에 배치되기 전에 사전 적응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예비학교가 올해 26개교로 늘어난다. 지난해까지 3개교에 불과했던 예비학교는 6개월 정도 한국어와 한국문화 등을 다문화 학생들에게 가르치게 된다.


다문화학생 전담 코디네이터도 확충된다. 26명이 추가로 배치되는데 19명은 시도 교육청에, 7명은 법무부 출입국관리소에서 입학 전 과정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한국어 교육도 강화된다. 한국어 교육과정(KSL)을 올해 상반기 중에 만들고 오는 9월 고시한 뒤 내년 3월 학기부터는 모든 초ㆍ중ㆍ고에서 시행한다는 것이다.

이외에 일반학생과 함께 배우는 이중언어 교육을 강화해 지난해 125명이었던 강사 수를 올해 298명으로 늘리고 오는 2015년 1,200명으로 확충한다. 다문화 친화적 지원 체계가 우수한 학교 150개교를 '글로벌 선도학교'로 선정해 정부가 집중 지원을 한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교과부 정책은 올바른 방향인 것 같다"고 평가한 뒤 "사회적 인식이 바뀌어야 하며 아이들이 교육기관에서 나와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문화가족 단체인 서울 해비치 다문화 가족 교육센터의 홍규호 운영지원팀장은 "중도입국자는 청소년 나이대가 많은데 이들은 M군과 같이 한국어 교육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집에서 인터넷만 하다 보니 인터넷 중독에 빠지는 등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교과부에 따르면 외국 주민 수는 지난 2007년 72만2,686명에서 지난해 126만5,006명으로, 미취학을 포함한 총 자녀는 2007년 4만4,258명에서 15만 1,154명으로 늘었다. 초ㆍ중ㆍ고 인구는 연평균 약 22만명 감소하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 수는 연평균 약 6,000명씩 늘고 있다. 특히 만 5세 이하 외국인 주민 자녀가 모두 취학하는 2014년이면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전체 초ㆍ중ㆍ고생의 1%를 넘을 것으로 교과부는 전망하고 있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