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근로자 취업유지율 외환위기이후 하락

IMF 외환위기 이후 임금근로자가 취업을 유지하는 확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최경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이 6일 내놓은 '노동시장 유연화의 고용효과 분석'에 따르면 임금근로자가 다음달(익월)에도 취업상태에 머물 확률은 지난 97년 외환위기 이전 97.5%에서 2000∼2001년에는 96.5% 수준까지 떨어졌다. 직위별로 보면 상용직 근로자의 경우 익월 취업확률은 99.1%로 98년 98.6%까지 떨어졌다가 원상복구됐다. 그러나 임시ㆍ일용직은 익월에도 취업 유지확률이 하락했으며 이런 변화는 일용직 근로자가 더 심했다. 또 외환위기 이전에는 익월에 취업한 실업자의 약 20%가 상용직으로 취업했으나 2000∼2001년에는 그 비율이 10%를 약간 웃도는 데 그쳤다. 한편 95년 7월과 99년 7월 임금근로자의 2년간 취업상태를 분석한 결과 평균 취업 지속기간이 99년 현재 7.5개월로 97년의 8.5개월에 비해 단축됐다. 이는 상용직보다 임시직과 일용직의 생존확률이 떨어진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최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노동력의 유동성은 크게 증가했으나 노동시장 규제 회피목적에서 임시ㆍ일용직 중심으로 고용이 확대되는 현상은 고용의 개선 및 경제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연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