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공공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아직도 판쳐

‘아직도 보이스피싱 사기가 득시글거린다’ 안양시에 사는 A씨는 지난 4일 우체국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으로부터 신용카드가 반송됐다는 전화를 받았다. 당시 휴대폰에는 우체국 전화번호(XXXX-1114)가 찍혀 있었다. 이어 경찰 사이버수사대(XXX-0112)와 금융감독원(3145-5114)의 전화번호가 찍힌 전화를 잇달아 받은 A씨는 600만원을 이체한 뒤에야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금융감독원은 18일 금융회사와 경찰,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 전화번호를 도용한 전화금융사기가 여전히 빈발하고 있다고 밝히고, 금융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회사나 경찰 등 공공기관 직원이 전화로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묻거나 현금입출금기로 예금보호조치를 해주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절대로 개인정보를 알려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또 공공기관 전화번호가 발신번호로 표시된 경우에도 반드시 해당 기관에 직접 전화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외에서 발신번호를 조작해 국내로 전화할 경우 국내에서 이를 차단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전화금융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금융회사와 공동으로 지난 6월15일부터 지난 8일까지 사기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계좌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인 결과, 1만3,054개의 사기계좌를 적발하고, 피해자들이 입금한 453억원에 대해서는 지급정지 조치를 내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