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 제2의 송승환은 없다


'공연의 메카'라는 서울 대학로가 요즘 술렁이고 있다. CJ그룹이 대학로 최대의 맹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CJ는 오는 5월을 전후해 대학로 최대 규모의 'CJ아트센터'를 오픈한다. CJ아트센터가 개관될 경우 CJ는 대학로에서만 6개 극장, 총 2,600여석 규모의 시설을 보유한 대학로 최대 큰손으로도 자리잡게 된다.


대학로 공연계는 결국 '대학로 성공신화'마저 넘겨주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대학로에 밀집한 공연장은 112개. 하지만 "예술로 흥정하지 않겠다"며 한 우물을 파온 중소 연극인이 대부분이다. 그들의 우려가 즉시 현실화되지는 않겠지만 대기업이 대학로 공연시장에 들어온다면 '난타'로 이름을 날린 PMC 프로덕션의 송승환 같은 인물이 다시 나올 확률은 더 작아질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송승환 배출은 대기업이 아직 그곳에 없었기 때문이라는 역설(逆說)이 공연계의 정설이다. SM엔터테인먼트의 이수만ㆍJYP의 박진영ㆍYG의 양현석, 엔씨소프트의 김택진ㆍ넥슨의 김정주 등 국내 신흥 파워 인물들도 모두가 공교롭게 대기업이 미처 그 분야에 자리잡지 못한 상황에서 배출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관련기사



왜 그럴까. 사실 기업 활동이란 게 부침(浮沈)의 과정이다. 국내 대기업들도 중소기업일 때 부침과 시련을 겪으면서 단단해졌고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과정을 밟아왔다. 하지만 정작 국내 대기업들은 기업 성장의 당연한 성장통을 앓고 있는 그런 중소기업들을 지켜보고 격려하는 대신 인수합병(M&A)으로 손쉽게 해당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을 밟고 있다. 결국 중소 공연인들은 CJ가 대학로 성공의 기회를 빼앗아가는 상황을 걱정하는 셈이다.

새 기업을 만들어서 키우는 '기업가정신'의 실종은 최근 한국사회의 화두다. 하지만 그 전에 '왜'새 중견 기업가들이 많이 배출되지 못하는가라고 물어야 된다. 그리고 그 뒤에 혹 대기업의 그런 행태들이 자리잡고 있지 않은지 검토해봐야 한다. 노나라 재상 공의휴(公儀休)는 '농사를 짓는 농부나 베를 짜는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겠다'며 채소를 기르던 텃밭을 없애고 자기 집 베틀을 불살라 화제가 됐던 역사 속 인물이다. 대학로가 지금 CJ에 요구하는 것은 공의휴와 유사한 마음과 태도인 것 같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