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日서 '삼성 예찬론'

"일본에는 왜 이건희 회장같은 경영자가 없나"


日서 '삼성 예찬론' "일본에는 왜 이건희 회장같은 경영자가 없나" 김현수 기자 hnsj@sed.co.kr 관련기사 • "이건희회장, 말 잘 못할정도 건강 악화" 일본 언론과 지식인사회에서 ‘삼성 견제론’을 넘어 ‘삼성 경외론’이 일고 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일본 마이니치 신문이 발행하는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일본 전자기업의 위기’라는 특집기사에서 “삼성과는 대조적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일본 전자업계의 위기는 근본적으로 훌륭한 경영리더가 없다는 데서 비롯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그러나 창업 2세인 이건희 회장이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삼성의 연간순이익은 1조엔을 돌파해 일본 7대 전자기업의 총순익보다 배나 많다”면서 “이는 삼성의 반도체와 휴대전화, LCD 등에 대한 집중투자와 젊은 인재 등용, 세계 각지 연구ㆍ기술 인력의 대량 스카우트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또 최근 일본 경영 컨설턴트 기타오카 도시아키(北岡俊明)씨와 토론모임인 ‘디베이트(Debate) 대학’이 펴낸 책 ‘세계 최강기업 삼성이 두렵다’도 “이 회장은 천재 경영자며 일본 기업이 삼성을 이기려면 이 회장과 같이 100년 앞을 내다보는 리더가 필요하다”면서 비슷한 논리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언론이나 지식인사회 일각에서 스스로를 비하해가면서까지 ‘삼성 예찬론’을 펴고 있는 것에 대해 국내 재계에서는 ‘삼성 타도’를 위한 내부의 결속과 결의를 다지기 위한 의도라고 경계하고 있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일본인들의 이 같은 언급의 이면에는 삼성을 꺾겠다는 무서운 투지가 자리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면서 “최근 일본에서 일고있는 삼성에 대한 ‘보급로 차단’, ‘포위공격’을 주장한 일부 언론의 시각이 오히려 일본의 본심에 가깝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12/21 17:2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