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농심배 세계바둑 '흑승 압도적'

이쯤되면 덤을 7호반으로 늘리자는 얘기가 나올 법도 하다.6호반 공제를 채택하고 있는 제1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에서 흑승이 압도적으로 많아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 12월 개막돼 23일 창하오 9단(중국)_야마다 7단(일본)전까지 벌어진 농심배 대국은 모두 열판. 이중 흑승이 일곱번인데 반해 백을 쥐고 이긴 경우는 1국 목진석 4단(대 야마시타 6단), 3국 구도 9단(대 목진석 4단) 8국 조훈현 9단(대 요다 9단) 등 세 번 뿐이었다. 이번 농심배만 놓고 볼 때 6호반 공제조차도 여전히 흑에게 더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공제란 먼저 두는 흑의 유리함(선착의 효)을 상쇄시키기 위해 계가때 흑에게 얹는 일종의 핸디캡으로 얼마를 적정선으로 해야 하느냐를 놓고 그동안 논란이 돼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70년대 말 일본서 시작된 5호반 공제제도를 도입해 최근까지 공식룰로 인정해 왔으나 흑이 절대 유리하다는 지적에 따라 80년대 중반부터 기사들 사이에서 덤을 한 집 더 늘리자는 개정여론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마침내 97년부터 한국이 선구자적으로 덤 6집반을 채택하기 시작해 현재 세계기전 3개, 국내기전 1개가 이를 시행하고 있다. 세계기전의 경우 제2회 LG배세계기왕전을 시작으로 98년 제3회 삼성화재배, 99년 흥창배와 농심신라면배 원년대회가 속속 덤 6집반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국내기전의 경우 지난해부터 명인전이 유일하게 6집반공제의 대세에 합류했다. 일본이나 중국은 아직 5집반 공제를 고수하고 있다. 현재까진 덤6집반이 이번 농심배에서 보듯 흑에게 큰 부담이 아님이 입증되고 있다. 특히 명인전의 경우 본선 1라운드를 치른 결과 4판중 3판이 흑승이었을 정도였다. 이런 추세라면 선착의 효가 정확히 몇 집에 해당되는지의 논의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7집반 공제 시대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할 것 같다. 김후영 기자입력시간 2000/03/24 18:3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