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카드 처리방안 사실상 타결

2개월째 끌어온 LG카드 처리방안이 사실상 타결됐다. LG카드에 대한 산업은행의 출자비율이 당초 19%에서 25%까지 늘어나 산업은행이 향후 관리를 주도하게 됐다.정부와 채권단은 또 추가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경우 LG그룹의 지원을 요구하기로 했다. 7일 정부와 채권단에 따르면 정부측은 LG카드에 대한 산업은행 출자비율을 전체 주식의 4분의1인 25%선까지 높이는 방안을 제시, 그동안 공동관리에 반대해온 국민·신한·조흥은행 등의 동의를 얻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추후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면 산업은행이 25% 지분만큼 책임을 지겠지만 나머지는 모두 LG그룹측에 부담을 요구하겠다”며 “다른 은행들이 공동관리 이후 추가적으로 유동성 지원에 나서게 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LG측은 “정부측 요구는 아무런 법적 근거가 없다”며 즉각 반발하고 나서 진통이 예상된다. 이에 앞서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채권은행들의 지원분담금을 당초 2조원에서 1조6,500억원으로 3,500억원까지 줄여주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LG카드와 함께 매각을 검토해온 LG투자증권 매각대금을 당초 산정한 2,000억원선에서 3,500억원으로 올리는 대신 은행들의 지원금을 줄인 것이다. 공동관리에 가장 크게 반대해온 김정태(金正泰) 국민은행장은 이날 저녁 “시장안정을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LG카드 문제 해결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며 “그러나 공동관리에는 반대하며 1~2개 은행이 책임지고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주채권은행에 공동관리 동의서를 제출한 금융기관은 우리·산업·기업은행, LG화재, 삼성생명 등 5개이며, 국민·신한·조흥은행과 농협 등도 조만간 동의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남대희기자, 변형섭기자 dhnam@hk.co.kr>

관련기사



남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