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셀프 세차장·PC방등 일상분야도 담합 신고 줄잇는다

가격담합(카르텔)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적발과 제재가 이어지면서 일상생활과 관련된 가격담합 신고도 늘고 있다. 지역도 서울ㆍ수도권을 비롯해 전국에서 이뤄지고 있다. 6일 공정위에 따르면 대형 카르텔에 대한 잇따른 적발로 셀프세차장ㆍ독서실ㆍPC방 등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대한 가격담합 신고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의 한 관계자는 “올해 들어 신고도 예전에 비해 많이 늘고 있는 추세”라며 “인터넷뿐만 아니라 전화를 통한 다양한 제보도 많다”고 말했다. 겹치기는 하지만 일주일에 여러 건의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조모씨는 셀프세차장의 가격담합 의혹을 공정위 사이트를 통해 제기했다. 조씨는 “보통 500원 동전 한 개씩을 넣어 세차를 진행하던 것을 최초 2,000원을 넣은 뒤 부족분은 별도로 동전을 넣어 세차를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바꿨고, 이는 그 지역 사업자끼리 결정했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신고했다. 충남 태안에서는 이모씨가 ‘PC방의 가격담합’ 의혹을 제기했다. 이모씨는 인터넷 신고를 통해 “태안군 PC방 연합회에서 가격을 1시간에 1,300원으로 담합하고 있다”며 “충주의 경우 연합회를 통해 1,000원에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A모씨는 비공개를 통해 독서실에 대한 가격담합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정유사의 가격담합에 대한 의혹제기는 단연 단골이다. 최근 휘발유 가격이 최고치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것도 한 이유로 보인다. 지역별 담합에 대한 의혹제기가 많다. 대구 남구나 전남 순천, 광양 지역, 제주도 등의 기름 값 담합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모씨는 “대구 남구의 경우 기름 값을 비슷하게 올리지 않을 경우 지역 순찰을 감시하는 조직원들이 폭언 등을 하면서 올리도록 종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정위 관계자는 “최근 유치원 가격담합, 태권도 도장 등의 가격담합 등 일상생활에 관련된 가격담합 적발이 많아지면서 국민들도 생활 속의 가격담합에 대한 의혹이 많아지는 것 같다”며 “의혹제기에 대해서는 실태를 파악한 뒤 조사 여부를 결정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