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위기대응 '글로벌 공조' 잰걸음

은행 단기자금 공급 등 합의 가능성

주요 선진국들이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공조방안을 논의하는 등 숨가쁜 움직임을 보이고있다. 7일(이하 한국시간) AP 등 주요외신에 따르면 주요 7개국(G7) 및 주요 20개국(G20) 재무당국자들은 이날 잇따라 전화회담을 열고 미국 신용등급 강등 및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국제 공조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로존 주요 중앙은행 총재들도 이날 같은 안건에 대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으며 G7 재무장관 ㆍ중앙은행 총재는 아시아 장이 열리기 전인 8일 아침 긴급 영상전화회의를 열기로 했다. G7 재무당국자 회의에서 정확히 어떤 내용이 오고 갔는지는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니혼게이자이신문은 "G7 정부가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과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 자국 은행에 단기 자금을 공급하는 방안에 합의할 가능성이 높다"며 "미국 달러화와 채권에 대한 신뢰를 강조하는 성명이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했다. 전 세계가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공동 대응하고 있는 것은 미국 경제 위기가 자국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이는 초기 대응에 실패할 경우 2008년 금융위기와 맞먹는 충격이 올 수도 있다는 우려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많게는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이들 서방 선진국 입장에서는 달러화 자산의 가치가 떨어지면 천문학적인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시장상황에 따라 양적 완화를 포함한 경기부양책을 실시하는지 여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벤 버냉키 의장은 오는 9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이달말 연례 회의인 잭슨홀 회의에서 어떤 식으로든 경기와 관련해 입장 표명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일랜드, 포르투갈, 그리스 등에 이어 이탈리아와 스페인마저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경우 미국발 경제 위기를 서둘러 차단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ABN암로의 닉 쿠니스 수석 거시경제연구위원은 "현재 유럽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중대한 위기에 처해있으며 재정 위기는 폭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 채권 매입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유럽중앙은행(ECB)의 대응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심리적 저항선인 6%를 이미 돌파한 상황에서 8일 주식ㆍ채권시장 재개장에 앞서 ECB가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려야 시장의 우려를 잠재울 수 있다는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ECB가 아일랜드와 포르투갈의 채권에 이어 이탈리아 채권까지 사들일 경우 국채 금리가 하락해 유로존 재정위기는 일단 한숨을 돌릴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이같은 채권 매입 확대에 독일 등 유로존 일부 국가가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로이터는 익명의 ECB 관계자를 인용해 "이탈리아가 긴축조치를 앞당기는 등의 개혁안을 내놨지만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도 많아 대립각이 크다"며 "사실 어느 쪽이 맞는 방향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