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혈액검사로 치매 진단 길 열려

국립보건연구원 고영호 박사팀

알츠하이머 진단 후보물질 발굴

국내 연구진이 치매 환자의 혈액에서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발굴했다. 간단한 혈액 검사만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약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립보건연구원은 고영호 생명의과학센터 뇌질환과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치매환자의 혈액의 'SUMO1(수모1)' 단백질 농도의 측정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관련기사



고 박사팀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을 유도하는 수모1 단백질에 주목했다. 베타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노인성 신경반의 주성분이자 치매 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이 경증치매환자 80명과 건강한 노인 133명의 혈액을 분석해 비교한 결과 치매환자군의 혈액 내 수모1 농도는 평균 1.04ng/㎖로 정상인(0.72ng/㎖)보다 수치가 2배나 높았다.

현재 치매를 진단하는 통상적인 절차는 임상센터 등에서 기억력 테스트 등을 진행한 뒤 기억력이 낮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MRI 등 정밀 검사를 순서로 진행된다. 고영호 박사는 "현재 가장 정확한 진단법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뇌영상기법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예측도 힘들다"며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방법은 수모1 수치의 변화를 통해 향후 치매증상을 예측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 질병관리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연구 결과는 학술지 '알츠하이머병 저널' 최근 호(8월호)에 발표됐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치매 진단 및 예측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