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수입차 누적 판매 대수는 총 15만8,739대로 전년 동기 12만8,817대 보다 23.2% 늘어났다.
반면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5,000만원 이하 차량 판매 비중은 2010년 49.2%에서 2012년 47.3%로 내려앉더니 2014년에는 44.4%, 올해 7월까지는 42.9%로 지속적으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는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수입차는 비싸도 잘 팔린다’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다.
경기 침체 속에도 고가 수입차가 많이 팔리다 보니 이를 보는 시선 또한 곱지 못하다.
급기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이 최근 고가의 수입차를 사업자들이 업무용으로 산 뒤 사적으로 유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거 모 대기업 오너가 법인 이름으로 8억원이 넘는 고가 스포츠카를 리스 구매한 뒤 자녀의 통학용으로 사용해 문제가 되기도 했었다.
특히 차량 가격이 비쌀수록 세제혜택 금액이 많다는 점을 악용해 일부 개인사업자와 법인들은 억대의 고가 수입 브랜드를 업무용 차량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구매 단가가 4억원에 달하는 롤스로이스와 2억5,000만원인 벤틀리, 1억8,000만원인 포르쉐 등의 사업자 구매비중은 70%를 훌쩍 넘는다. 롤스로이스의 경우 지난해 총 판매금액에서 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97.9%에 달했고 벤틀리는 84.8%, 포르쉐 76.5%로 집계됐다.
이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자 기획재정부가 세법 개정안에서 업무용 승용차의 사적 이용에 대한 과세 방침을 분명히 했다.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은 최근 배기량 대신 차 값을 기준으로 자동차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공동 발의해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현행 배기량 기준으로 자동차 세금을 내게 되면 국산차 대신 값비싼 외제차 소유자만 유리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