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미르호 남태평양 해상 추락

한반도등에 별다른 피해 없어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호가 23일 오후 3시(이하 한국 시간)께 뉴질랜드와 칠레 사이 남위 44도, 서경 150도의 남태평양 바다에 추락해 우주 개척사의 한 장을 마감했다. 1986년 카자흐스탄 바이크노르 기지를 출발해 15년 간 각종 우주 실험과 유영 장소로 활용됐던 미르호는 대기권을 통과하며 분해돼 1,500여 개의 파편으로 지구에 묻혔다. 러시아 우주통제센터는 이날 오전 9시 33분께 미르호에 연결된 우주화물선 프로그레스호의 역추진 엔진을 점화한 데 이어 오후 2시께 마지막 엔진 점화를 끝으로 인도양 상공 210여㎞ 지점에 있던 미르호를 대기권에 진입시켰다. 미르호는 대기권 진입 때 엄청난 마찰열로 137톤에 이르는 본체 대부분이 불타 없어지고 27톤 가량의 파편으로 30분 동안 폭 200㎞, 길이 5,000여㎞의 해상에 쏟아져 내렸다. 이날 미르호는 서아프리카-흑해-유라시아 대륙-한반도 주변-남태평양으로 추락 궤도를 그렸다. 미르호 추락에 대비해 뉴질랜드는 이날 추락 지점 인근의 비행기 운항을 금지하고 어선의 조업을 금지시켰다. 남태평양 피지에서는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비행사와 과학자, 사진기자, 유료 관광객 등이 두 대의 비행기에 나눠 타고 미르호의 마지막 추락 장면을 관찰했다. 그 동안 104명의 우주인이 방문했던 미르호에서는 무중력 상태의 인체 연구, 여러 금속의 표면 장력 실험 등 1만 6,500건에 이르는 우주 실험이 치러졌다. 최장 우주 체류(737일), 우주 유영(82시간 21분) 등의 기록도 미르호에서 세워졌다. 고장 수리와 궤도 유지 비용을 감당하기 힘든 러시아의 결정으로 미르호가 폐기되면서 미국과 러시아는 우주 경쟁의 시대를 끝내고 국제우주정거장(ISSㆍ2005년께 완공 예정)이 상징하는 우주 협력의 시대를 맞게 됐다. 김범수기자 bskim@hk.co.kr

관련기사



사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