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中기업 국내 상장 까다로워진다

잇단 회계부실 등 문제에<br>금감원, 감독 강화 방침

금융감독 당국이 최근 회계부실 등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중국 기업에 대한 감독 강화방침을 피력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중국 기업들의 한국증시 상장이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13일 "현재 한국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은 대부분 '쓰레기'에 불과하다"며 "차라리 해외에서 성공한 한국인 기업들을 상장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금감원이 중국 기업에 대해 쓰레기라는 원색적인 표현까지 써가며 강하게 비판한 것은 회계부실 문제로 두 달 가까이 거래가 정지된 중국고섬을 비롯한 중국 기업들이 국내증시에서 잇달아 문제를 일으키자 앞으로 이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된다. 지난 2007년 이후 국내증시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중국 기업들은 현재 3노드디지털과 차이나킹 등 15곳에 달한다. 이 중 ▦연합과기는 감사의견 거절 ▦차이나하오란은 2대주주 지분처분 지연공시 ▦중국원양자원은 최대주주 차명상장 의혹과 갑작스런 유상증자 철회 등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특히 올 초 상장된 중국고섬은 자회사 회계에 문제가 제기되면서 싱가포르와 한국증시 모두에서 거래가 중지된 상태다. 금감원의 강경한 입장 표명에 따라 앞으로 중국 기업들의 국내증시 상장은 한층 힘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상장결정 권한은 한국거래소가 갖고 있지만 결정과정에서 감독당국의 입장을 무시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제대로 된 중국 기업이라면 왜 굳이 우리나라 증시에 상장하려고 하겠는가"라고 반문해 중국 기업의 한국증시 입성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감원이 이처럼 강한 톤으로 얘기했다면 중국 기업의 상장 추진을 하지 말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앞으로 거래소의 중국고섬 처리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비난의 화살은 거래소에도 옮겨갔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솔직히 (한국)거래소가 중국 기업들을 제대로 실사했는지 의심이 가는 대목"이라며 "나중에 (거래소에 대한) 검사를 통해 잘못된 점이 있으면 반드시 조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중국고섬의 거래중지와 관련해 "얼마 전에는 전산 문제로 3월 말까지의 은행잔액을 확인할 수 없다고 하더니 이제는 현재 잔액만 제출하겠다고 얘기하고 있다"며 "그때 사라진 자금을 메워놓고 그것만으로 인정 받겠다는 속셈"이라고 부실회계 가능성도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