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 웨이하이 '삼성기업도시'를 가다

공산당원 근로자도 성과급 저항없어<br>프린터 관련 32개사 입주…'첨단산업 메카'로 우뚝<br>中물품 사후통관 허용·협력사엔 토지 절반가 공급<br>市 GDP 6% 생산…후주석도 방문 "하오(好)" 연발

중국 웨이하이의 삼성전자 프린터 공장 생산라인에서 근로자들이 일을 하고 있다.

웨이하이시가 헌정한 삼성로.

서해를 사이로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중국 산둥(山東)성의 웨이하이(威海)시에는 ‘삼성공업원(三星工業園)’이라는 공업단지가 있다. 삼성전자가 32개 협력업체와 프린터 복합생산단지를 형성하고 있는 중국판 ‘삼성 기업도시’이다. 지난 90년대만 해도 벽촌에 불과했던 이 곳은 삼성전자가 입주한 후 10여년 만에 첨단산업의 메카로 거듭났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2005년 이 프린터 공장을 둘러보면서 “하오, 하오(好 好)”를 연발했었다. 중국의 역동적인 힘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다는 웨이하이에 가보았다. 웨이하이공항에서 80㎞ 떨어져 있는 삼성 프린터 공장을 가는 길은 한국의 산하를 닮아 있다.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도시’라는 명성에 걸맞게 풍광이 수려한 4월의 웨이하이에 취해 있노라니 어느덧 ‘삼성로(三星路)’라는 돌 비석이 눈에 들어왔다. 여기부터가 삼성전자와 협력업체들의 프린터 공장이 모여 있는 ‘삼성 기업도시’다. 공장에 들어서니 작업대에 앉은 근로자들의 손길이 바쁘다. 근로자들이 화장실에 가는 시간도 아까워 할 정도로 일에 매달린다는 정사진 현지 법인장의 말이 언뜻 이해되지 않았다. “우리 공장은 ‘셀 라인’ 생산방식을 65%가량 적용하고 있습니다. 한 사람이 프린터 전체를 조립하는 방식인데 생산효율이 대단히 높습니다.” 정 법인장의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셀 라인 근로자들에게 최고 두 배의 급여를 준다. 공회(노동조합)가 93년에 생겼고 공산당원이 65명이나 되는 공장에서 이렇게 유연한 성과급 시스템이 별다른 저항 없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 놀랍다. 두 시간가량 걸린 공장 투어의 마지막 단계인 출하공정에는 텅 빈 공간이 넓게 자리잡고 있었다. “우리 공장에는 창고가 따로 없습니다. 프린터가 생산라인을 모두 거쳐 나오면 여기에 정확하게 1시간30분 동안 쌓여 있다가 주문자들에게 배달됩니다.” 정 법인장의 설명이 이어진다. “우리는 32개 협력업체들과 ‘3일 확정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3일 전에 삼성이 주문한 물량은 무슨 일이 있어도 구매를 보장해준다는 약속입니다. 협력업체가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에는 페널티가 주어지지요.”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32개 협력사의 생산공정을 컴퓨터로 모니터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해 30분마다 생산실적이 실시간으로 공유된다. 이 같은 생산혁신에 힘입어 삼성전자 웨이하이 프린터 공장은 지난해 매출액 11억달러를 기록, 시 전체 GDP의 6%를 차지했고 수출액은 10억달러로 16.5%를 점유했다. 고용인원도 삼성프린터 1,000명, 협력사 1만4,000명으로 일자리 창출에도 큰 몫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사회기여도에 대한 보답으로 웨이하이시는 2002년 삼성프린터에 ‘삼성로’를 헌정했다. 정 법인장은 “중국 정부는 삼성에 사후통관을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삼성 협력사에 시중의 절반가격에 토지를 불하하는 등 적극으로 지원해주고 있다”면서 “웨이하이를 삼성의 차세대 캐시카우인 프린터사업의 전진기지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