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 노조 납품비리로 "최대위기"

현직간부가 기념품 납품업체서 금품수수<br>"위원장 포함 집행부 총사퇴" 여론 거세져

현대차 노조 납품비리로 "최대위기" 현직 핵심간부 금품수수 연루 구속 수감"위원장 포함 집행부 총사퇴" 여론 거세져 울산=곽경호 기자 kkh1108@sed.co.kr 국내 강성 노동운동을 주도해온 현대자동차 노조가 최근 노조 간부의 기념품 남품 비리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노조 창립 20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이번 기념품 비리사건은 지난해 취업비리 사건 때와는 달리 현직 노조 핵심간부가 연루됐다는 점에서 노조의 선명성과 도덕성에 치명타를 안겨주고 있다. 이 때문에 현대차 노조 내부에서조차 위원장을 포함, 집행부 총사퇴를 요구하는 여론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울산 동부경찰서는 현대차 노조 총무실장 이모(44)씨와 납품 브로커 우모(45)씨 등 2명에 대해 법원으로부터 구속영장을 발부받아 12일 이들을 구속 수감하고 납품업체와 노조간의 금품거래 여부를 집중 추적하고 있다. 경찰은 특히 브로커 이모씨가 "납품 성사 대가로 납품업체 측으로부터 1억원을 받기로 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상태여서 조만간 금품거래 등 납품비리 전모가 드러날 전망이다. 현대차의 상당수 노조원들은 그동안 무성했던 노조 납품비리 실체가 이번 경찰 수사로 확인되자 충격 속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2만4,000여 현대차 노조원들의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노조 총무실장이 전격 구속된 것을 계기로 노조 내부에서는 박유기 노조위원장을 포함한 현 집행부의 총사퇴론을 강하게 제기하고 나서는 등 내홍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차 노조 8대 집행부의 경우 지난 2000년 대우자동차 해외매각 반대 광고를 중앙일간지에 실은 뒤 회삿돈으로 광고비를 대납했다가 도덕성 시비에 휘말려 중도 사퇴한 적이 있다. 2002년에는 당시 같은 그룹 계열사인 현대중공업 노조 사무국장이 노조창립 기념품 납품을 조건으로 업자에게서 6,000만원을 받아 구속되자 집행부가 총사퇴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자 현대차 노조 내 각 현장조직들은 12일 열린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집행부 총사퇴를 강하게 요구하고 나서 집행부와 현장조직간의 노노갈등 양상마저 빚어지고 있다. '전민투'는 이날 "금품수수 여부를 떠나 노조 간부가 업무상 배임죄로 노조의 근간인 도덕성ㆍ자주성ㆍ투명성이 짓밟히게 된다면 집행부는 책임을 지고 즉각 퇴진해야 한다"고 압박을 가했다. 다른 현장조직인 '실노회'도 이날 "집행부는 아무리 사건을 은폐축소를 하려고 해도 드러난 사실로 볼 때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며 "집행부는 자기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고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공세를 취하고 나섰다. 입력시간 : 2006/12/12 17:3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