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조선시대 역관은 실물경제의 큰손"

조선 최대 갑부 역관- 이덕일 지음, 김영사 펴냄


조선 외교의 기본 정책은 사대교린(事大交隣)이다. 명나라는 상국(上國)으로 사대하고 이웃 일본과 여진은 사이 좋게 지내는 교린 정책이 바로 사대교린이다. 물론 '사대'와 '교린' 가운데 중요한 것은 명과의 관계인 '사대'였다. 사대 외교의 정치적인 표현은 조공(朝貢)이다. 후대 역사학자는 이 조공이라는 말에 경제적인 수식어를 붙여 조공 무역이라 일컫는다. 조공 무역을 사대주의의 표본이라고 비판하는 이들도 있지만 속 안을 들춰 보면 이 조공 무역은 명분을 내주고 실리를 챙기는 실속 경제 외교였다. 저자는 조선시대 역관에 관한 사료를 통해 조공 무역의 결과가 조선에게 큰 이익을 안겨 줬다고 결론 내린다. 흔히들 조공은 명나라의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행했던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조금 다르다. 조선 초기 명나라는 3년 1공(貢), 즉 3년에 한번의 조공 무역을 주장했지만 조선은 거꾸로 1년 3공, 즉 1년에 세번의 조공 무역을 주장했다. 알아서 기는 사대의 최상급이 아니었다는 얘기다. 속 사정을 보자. 조선 초 명과의 가장 중요한 조공 무역품은 말이었다. 조선은 말 값을 미리 받은 다음 말을 명나라에 보냈다. 조공국인 조선이 조공을 바치면 사대국인 명이 그에 걸 맞게 사여(賜與)를 내리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이다. 조선은 이 조공용 말을 여진에게서 면포 45필로 수입했고 그것을 명나라에 오승포 500필 값에 조공으로 바쳤다. 말 수출로 10배의 이득을 챙겼던 것이다. 조선 시대 역관은 뛰어난 무역상에서 그치지 않았다. 그들은 평시에는 외교관 역할을 겸하면서 전쟁시에는 유능한 첩보원이기도 했다. 저자는 조선 시대 실물 경제의 큰 손이자 닫힌 시대의 개화를 촉구한 선각자로서 천의 얼굴을 지닌 역관의 역사적 지위를 복권하는 데 멋지게 성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