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대졸 신입사원 채용동향 알고보니…

100명 → 3.8명 → 2.9명 → 2.1명<br>경총 '대졸 신입 채용동향 특징조사'<br>경총 '대졸 신입 채용동향 특징조사'


대졸 구직자 100명 중 최종 합격자는 3.8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이 중 2.9명만이 실제로 입사하며 입사 1년 후에는 겨우 2.1명만이 남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7일 전국 100인 이상 345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8년 대졸 신입사원 채용 동향과 특징 조사’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경총에 따르면 대졸 구직자 100명 지원시 서류전형은 12.3명, 면접은 최종 3.8명만이 합격해 취업 경쟁률이 평균 26.3대1에 달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취업 경쟁률이 30.3대1, 중소기업 8.4대1로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대졸 신입사원 지원자 100명을 기준으로 중소기업은 11.9명이 합격할 수 있는 반면 대기업은 3.3명만이 합격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을 뚫고 합격한 대졸 취업자들 중 상당수는 입사를 포기하거나 1년 이내 직장을 옮기는 것으로 나타나 구직난 속에 기업들의 인력관리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종 합격자의 입사 포기율은 23.7%나 됐다. 대기업이 19.1%인 반면에 중소기업은 31.9%나 돼 중소기업을 꺼리고 있음을 반증했다. 입사 1년 이내 퇴사율은 27.9%였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졸 신입사원의 36.6%가, 대기업은 21.0%가 1년 이내 퇴사했다. 경총은 “기업들이 입사 초기에 집중적인 교육을 실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조기퇴사는 기업의 비용부담 증가요인이 된다”며 “중소기업의 경우 신규인력 충원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 기업경영의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신입사원의 최종 합격 여부는 면접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필기시험이 없는 2단계 전형 기업의 경우 100점 만점에 면접 61점, 서류 39점의 배점 비중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기시험을 포함한 3단계 전형 기업의 경우 면접 48점, 서류 28점, 필기 24점의 비중을 부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인사 담당자들은 대졸신입 채용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조직적응력 및 협동심(27.1%)’을 꼽았다. 이어 ‘업무전문성 및 창의성(25.4%)’ ‘적극성과 성취욕(24.6%)’ 등의 순이었으며 ‘학점 및 영어성적(3.3%)’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