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둔 협력업체들은 더 죽을 맛이다. 상반기 현대차 노조의 휴일특근 거부로 몸살을 앓은 5,000여 2ㆍ3차 협력업체 중에는 파업이 장기화하면 추석 상여금은 고사하고 임금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할 수 있다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연간 평균 9,500만원이 넘는 급여를 받는 슈퍼갑(甲) 귀족노조가 반쪽 급여를 받는 협력업체 직원들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셈이다.
양사 노조가 연례행사처럼 벌이는 파업의 부정적 파급효과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내수판매에서 갈수록 수입차에 밀리고 있는 자사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ㆍ충성도를 좀먹고 국내 자동차산업을 피멍 들게 한다. 결국 노조원 자신들의 일자리를 밖으로 내몰 뿐이다. 수입차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처음 10%를 넘어섰고 올해 12%를 웃돌 기세다. 반면 국내 완성차 업체의 내수판매는 지난 2011년 147만여대에서 올해 140만대 이하로 쪼그라들 모양이다.
노사협상 전망은 밝지 않다. 180개에 이르는 노조의 요구사항 중에는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해외공장 신설과 신차종 투입 때 무조건 노사공동위원회에서 심의ㆍ의결, 대학 미진학 자녀 기술취득지원금 1,000만원 지원 등 지탄받을 만한 것이 적잖다. 사측도 해외공장 가동률을 높여 국내 생산차질을 메우겠다고 나서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양사의 해외생산 비중은 2005년 19%에서 지난해 51%, 올 상반기 54%로 급상승하고 있다. 생산성ㆍ임금ㆍ노조리스크는 물론 탄력적인 수요대응력, 관세 등의 측면에서 국내보다 매력적인 부분이 적잖다. 노조는 해외공장과의 경쟁에서 이겨야 일자리도 지킬 수 있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