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SEN 6시 주요뉴스

# 北, 회담 거부…"먼저 중대조치 취할 수도"

"체류 인원 걱정되면 철수해라…신변안전대책 취해줄 것"


북한이 우리측의 개성공단 실무회담 제의를 거절했습니다.

국방위원회는 담화를 발표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실무회담 제의를 비난하면서 "우리가 먼저 최종적이며 결정적인 중대조치를 취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또 "개성공업지구에 남아 있는 인원들의 생명이 걱정된다면 남측으로 모든 인원을 전원철수하면 될 것"이라며 "신변안전보장대책을 포함한 모든 인도주의적 조치들은 취해주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장기화되고 있는 개성공단 사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 개최를 어제 제의하면서 오늘 오전까지 북한 측에 입장 표명을 요구했습니다. 정부는 북한이 회담을 거부할 경우 중대조치가 불가피하다고 경고했으며 '중대조치'가 어떤 내용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개성공단 체류인원 전원 철수 권고 등이 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 심리지수 4개월 만에 뒷걸음

소비자심리지수(CSI) 102…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

소비자들의 경제상황 인식을 나타내는 소비자 심리지수(CSI)가 4개월만에 하락했습니다.

한국은행이발표한 '4월 소비자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 심리지수는 102로 전월보다 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CSI가 100을 넘으면 경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는 소비자가 더 많다는 뜻이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입니다.

CSI는 지난 12월 99에서 올해 1월과 2월 각 102, 3월 104로 상승하며 소비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졌으나 4개월 만에 다시 하락반전했습니다.

엔저에 대한 우려와 북핵 리스크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한은측은 분석했습니다.

#현대차, 브라질서 산타페 등 2만4천대 리콜

브라질 법무부는 현지시간으로 25일 현대자동차의 산타페·베라크루즈·투산 등 2만4천여대에서 브레이크등(燈) 스위치 결함이 발견돼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브라질 정부는 이에 앞서 기아차 2만4천대에 대해서도 브레이크등 결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관련기사



현대·기아자동차는 일부 차량에서 브레이크를 밟아도 브레이크등이 제대로 켜지지 않는 문제 등이 발생해 전 세계적으로 리콜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리콜 규모는 미국 187만대, 캐나다 36만대 등을 합쳐 전세계적으로 약 3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25일 1분기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리콜 해소를 위한 충당금으로 900억원을 쌓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아차 1분기 실적 엔저ㆍ노사문제로 급감

기아차 1분기 영업익 35.1% 감소…국내 생산 7.7%↓

원화강세·특근거부 등 영향…매출액 6% 줄어

기아자동차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35%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아차는 올해 1분기에 매출액이 11조8백억원, 영업이익 7천억원을 기록했으며 당기순이익 은 7천8백억원이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영업이익은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가 증가하면서 작년 동기보다 35%나 줄었고 당기순이익도 35% 가량 감소했습니다.

매출액도 원화 강세와 준중형 이하 차급 확대 영향으로 6% 줄었습니다.

기아차는 특히 현대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내 생산 비중이 높아 최근 노조의 특근거부로 인한 생산감소 영향이 그대로 실적에 반영됐습니다.

#양파 수급 안정 대책…교복가격 상승억제

교복가격 상승률 3% 이내로

정부가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폭등한 양파에 대해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주요 교복업체의 하복 가격 상승률은 3% 이내에서 형성되도록 유도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오늘 정부 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습니다. 정부는 작황이 좋지 않은 조생양파 가격이 출하기인 내달까지 계속 높은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보고 양파 저율관세할당물량(TRQ) 증량분 5만t을 5월말까지 전량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또 주요 교복 3개 업체의 올해 하복 가격 상승률이 2~3%에서 형성되도록 유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정부는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2.2%) 범위에서 적정 가격이 형성되도록 학교에 권고하고 공동 구매 시 최저가 업체 선정을 원칙으로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서울경제TV 보도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