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9월 4일] 근거없는 불안심리 해소에 적극 나서야

원ㆍ달러 환율이 4거래일 동안 70원 가까이 폭등하면서 외환시장의 불안이 가시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은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과도하다고 보지만 달러당 1,200원선을 넘어설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와 마음을 놓을 상황이 아니다. 특히 3일 환율폭등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달러화 초강세가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유가급락이 오히려 외환시장에 악재로 작용한 셈이다. 환율급등을 비롯한 최근의 금융불안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외환규제는 없고 환금성이 좋은 큰 시장을 갖고 있다 보니 시장의 변동성이 클 수밖에 없다”는 게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의 진단이다. 여기서 한가지 지적할 것은 그동안의 섣부른 환율정책도 불안감을 키운 요인이라는 점이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직후 환율을 인위적으로 100원 가까이 끌어올렸다가 지난 7월에는 3거래일 만에 50원가량 급락시켰지만 정작 개입이 필요한 때는 손을 놓고 있어 시장의 신뢰가 떨어졌다는 지적이 많다. ’9월 위기설’은 기본적으로 외국인 투자가의 보유채권 만기가 집중된데다 인수합병에 나선 대기업의 자금위기설 등이 겹치면서 심리적 불안감이 증폭된 데서 비롯됐다. 여기에다 환율상승이 지속되면서 환차손을 덜 보기 위해 외국인 투자가들이 주식매각을 가속화하고 있는 것도 금융불안을 높이는 요인이다. 더욱이 성장률ㆍ물가ㆍ국제수지 등 심상치 않은 경제지표가 가세해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외환시장이 요동치고 있으나 섣불리 개입하기도 어렵다는 점이다. 자칫하면 외환보유액이 줄어드는 것 자체가 불안을 가중시켜 시장의 불안감을 더 키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은 시장의 변동성을 흡수할 수 있는 펀더멘털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게 중요한 시점이다. 정확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근거 없는 불안감과 오해를 이른 시일 내에 해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자금난 소문이 나도는 기업들도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경기 활성화 대책을 통해 실물경제의 악화를 막고 경기회복 기대감을 높이는 것이 근본대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