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中성장세 둔화되더라도 연착륙할 것"

“中경제 위험요인 진행상황 면밀히 점검” 정부와 한국은행이 중국 경제가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에도 연착륙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또 국내 고용 사정이 나아지고 있지만 불확실성을 고려해 일자리 창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25일 은행회관에서 제4차 거시정책협의회를 열어 중국 경제 동향과 국내 고용 상황에 대해 이같이 인식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중국 경제에 대해 최근 9%대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비은행권 부실, 주택가격 급락 가능성 등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봤다. 다만 지금으로서는 중국의 성장세가 둔화하더라도 연착륙할 가능성이 높고 잠재 리스크 요인들도 단기간에 현실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에 대한 중국의 수출 의존도가 낮아졌고, 임금상승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와 소비 진작 정책으로 내수 성장세도 지속되고 있다는 게 판단의 이유다. 또 최근 중국의 부동산 가격 하락이나 비은행권 부실 우려도 유동성 축소에 따른 영향이 큰데다 중국의 재정여건 등에 비춰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고 재정부 측은 전했다. 우리나라 고용 상황에 대해선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고용률과 실업률 등 고용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고용 여건의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고용 개선 흐름이 이어지도록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조적 노력을 지속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양측은 의견을 모았다. 거시정책협의회는 재정부와 한은의 부기관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외 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한 정보와 인식을 공유하고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이날 회의에는 신제윤 재정부 1차관과 이주열 한은 부총재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