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일게이트' 관련자 12명 出禁

金 검찰총장 "머뭇거릴 이유없다" 철저수사 천명

검찰이 철도청(현 철도공사)의 러시아 유전개발투자 의혹 사건에 대해 감사원으로부터 지난 13일 수사요청서를 받자마자 김세호 건설교통부 차관(당시 철도청장) 등 관련자 12명에 대해 출금 조치하고 14일 세부적인 증빙자료를 건네받아 소환자 선별작업을 벌이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감사원 감사 결과가 정치권 외압설 등 무성한 소문만 부풀린 만큼 실체적 진실규명을 통해 조속히 국민적 의혹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김종빈 검찰총장이 13일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며 단호한 대응의지를 천명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우선 검찰은 이번 유전사업을 철도청에 제의한 사건 핵심인물인 전대월 하이앤드 대표와 허문석 코리아크루드오일(KCO) 대표의 신병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철도청이 단순히 투자에 대한 판단을 잘못한 것인지, 아니면 전씨 등과 공모해 일부러 철도공사에 손실을 끼치려 했는지가 우선 밝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 중 하나가 철도청이 당초 유전사업을 구상한 쿡에너지 대표 권광진씨를 포함해 전대월씨에게 유전사업 시작 전부터 ‘사례금’ 명목으로 약속한 120억원이다. 철도공사는 전씨 등이 갖고 있는 KCO 지분을 넘겨받고 ‘주식인수 대금’으로 주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사업 초기부터 전씨 등이 사례비를 요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석연치 않은 해명이다. 전씨는 계약을 맺자마자 자신의 몫인 84억원의 채권을 54억원과 30억원으로 나눠 황모ㆍ김모씨 등에게 넘겼고 이들 자금의 행방이 묘연해 상당수가 로비 자금으로 쓰인 게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검찰은 의혹해소의 실마리를 쥔 허씨와 전씨가 해외도피 및 잠적 상태인 만큼 먼저 철도공사 등 관계기관과 업체에 대한 압수수색과 계좌추적에 나설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수사 의뢰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압력 행사설이 끊이지 않았던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수사가 사건 핵심관계자의 신병확보가 불투명한데다 계좌추적 등을 통해 특별한 물증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검찰의 단호한 의지와 달리 실체 없는 사건으로 끝날 가능성도 적지않다. 이 경우 진실규명작업은 정치적 논란 속에 특검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