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수기 요금이 정상 요금? 수요따라 할인 제멋대로

■ 업계 요금 방식 들여다보니

업계에서는 바가지 요금을 과잉 요금이라고 말한다. 과잉 요금은 기본적으로 초과 수요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최근 국토해양부가 조사한 올 여름 휴가철 교통수요를 보면 전체 예상 이동 인원 7,723만명 가운데 44%가 7월 27일부터 8월 3일 사이 휴가를 간다고 답했다. 이 기간에 휴가를 떠나는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비싼 금액은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호텔업계 한 관계자는 "성수기 요금은 과잉 요금이 아니라 오히려 정상 요금에 가깝다"고 딱 잘라 말했다.

호텔에는 객실 기본요금인 '공표요금(rack rate)'라는 것이 있다. 일절 할인되지 않은 공식 요금이다. 주로 인터넷을 통해 접하는 저렴한 요금은 이 공표요금에서 일정 비율만큼 할인된 요금이다. 일례로 수도권 S호텔 디럭스룸의 경우 공표요금이 35만원이지만 비수기나 평일에는 50% 이상 할인하는 경우도 많아 10만원대로 예약할 수도 있다.


만약 수요가 많아 만실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굳이 할인 요금을 제시할 필요가 없다. 이 관계자는 "성수기 때는 호텔로 직접 찾아오는 손님도 많기 때문에 할인 요금이 적용되는 인터넷 사이트의 검색을 아예 막아두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귀띔했다.

관련기사



항공권 가격 역시 마찬가지다. 항공권 가격은 국토부에 신고하는 공시운임과 이 공시운임에서 항공사 자체적으로 할인율을 적용한 판촉운임으로 나뉜다. 판촉운임은 좌석의 위치, 항공권 유효기간, 출발 시간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 달라지는데 조건이 까다로울수록 가격은 저렴해진다. 항공사 한 관계자는 "만약 도쿄로 2박3일간 여행을 떠난다면 3일 유효기간의 항공권을 사는 게 가장 저렴한 방법이지만 만약 이 티켓이 다 팔렸다면 좀 더 비싼 1주일, 1년 티켓을 구매해야 할 것"이라며 "이용객이 많은 성수기에는 싼 티켓이 거의 소진되다 보니 비싸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행상품의 요금도 결국 수요에 따라 달라진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여행상품을 구성하는데 가장 높은 비용을 차지하는 것이 항공권인데 성수기 때는 좌석을 많이 확보해도 대부분 팔리지만 비수기 때는 땡처리를 해도 안 나가는 경우가 있다"며 "비수기 때 손해 보는 비용을 성수기 때 조금 만회할 수 있도록 이익을 조금 더 얻곤 한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비수기 때는 항공권을 사지 않으면 해결되는 일 아닌가. 그는 "성수기 좌석 확보는 대부분 여행업계가 사활을 걸고 있는 일"이라며 "성수기 좌석 배당은 항공사에 달려 있는 건데 좌석점유율이 낮은 비수기 때 하나라도 더 팔아주는 여행사에 성수기 좌석을 많이 배당해 주는 것이 인지상정 아니겠냐"는 입장을 보였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