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랜드 노사 교섭 결렬

비정규직·매장점거 농성 등 사안 이견 못좁혀

이랜드 노사가 비정규직 문제와 노조의 매장 점거농성 등 사안을 놓고 10일 오후 교섭을 벌였지만 결렬됐다. 이랜드 노사는 이날 오후 4시40분부터 서울지방노동청에서 오상흔 홈에버 사장, 최종양 뉴코아 사장, 김경욱 이랜드 일반노조위원장, 박양수 뉴코아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시간 동안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오 사장은 협상 결렬 직후 “매장 불법 점거를 해제하는 조건으로 앞으로 한달 동안 평화기간을 갖고 각종 현안을 집중 논의하자고 노조에 제안했으나 거부당했다”고 말했다. 이랜드 사측은 이날 노동부의 중재를 통해 노조가 매장 점거농성을 해제할 경우 ▦향후 30일간 평화기간 설정 ▦양측 대표자급이 참여하는 교섭 진행 ▦평화기간 뉴코아 비정규직 해고자 53명 한시 복직 ▦교섭 중 수배자 신변보호 등 기존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선 교섭안을 제시했다. 반면 김경욱 이랜드 일반노조위원장은 “사측이 점거농성을 해제하지 않으면 더 이상 논의를 진행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만 반복해 교섭에 진전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회사가 노동부의 중재로 중재안을 내놓았다고 주장하지만 이날 교섭을 시작하기 전에 이 같은 내용을 전혀 전달받은 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아무 전제조건 없이 점거농성을 중단할 수는 없으며 점거농성을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이날 노사 교섭에 앞서 중재안 내용을 공개하면서 “교섭이 희망적이며 이랜드 노조가 11일부터 매장 점거농성을 풀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정확한 사태 파악도 하지 못한 채 너무 앞서간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 장관은 이랜드 사태가 비정규직 보호법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대표하는 사례로 부각되자 적극적인 중재에 나섰지만 결국 생색 내기에 불과했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