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韓·美 비혈연 조혈모세포 교류

우리나라와 미국간 처음으로 비혈연(타인)간 조혈모세포 교류가 이뤄져 혈액 질환자가 공여자를 찾지 못해 조혈모세포 이식치료를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 열렸다.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소장 민우성 교수)는 최근 골수이형성증후군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17세 여자)에게 미국 공여자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성모병원 의료진은 지난 주 수술당일 오전7시 비행기편으로 인천공항에 미국 공여자의 조혈모세포가 도착한 후 이를 병원으로 긴급 이송, 오전 11시30분 혈액내과 김유진 교수의 집도 하에 비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했다. 조혈모세포이식은 형제간 유전자가 일치하는 공여자를 찾을 확률이 20~30%에 지나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형제가 아닌 비혈연간 이식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자녀를 적게 출산하는 분위기로 인해 국내 공여자중에서 일치할 확률은 60%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일본과 대만을 비롯한 아시아권 골수은행까지 확대해 일치자를 찾을 확률은 70~75% 정도. 미국 등 세계적인 영역으로 확대했을 경우에는 더욱 용이할 수 있다. 김유진 교수는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일본 대만 등 아시아권 국가와 조혈모세포 교류는 있었다”면서 “그러나 이번에 세계 최대의 공여자를 확보하고 있는 미국과 조혈모세포 공조는 관련 질환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삶에 대한 희망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에 앞서 국내 최대 규모인 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는 국내 처음으로 미국골수은행(NMDP-National Marrow Donor Program)에 이식센터로 등록, 미국에 유전자가 일치하는 공여자로부터 골수를 기증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지금까지 세계 최대의 골수 기증자를 갖고 있는 미국의 NMDP(National Marrow Donor Program)나 유럽의 BMDW(Bone Marrow Donor World Wide)는 등록절차에 어려움이 많아 한국인 공여자가 미국 골수은행에 4만 명 정도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것을 이용할 수 없었다. 또 미국 내 일치하는 공여자가 있더라도 공식적으로 골수를 기증 받는 길이 없어 비싼 골수이식비용을 지불하면서 미국골수은행이 인정하는 병원으로 가야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센터는 의료진들과 김광성 코디네이터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미국골수은행 등록을 성사시켰다. 미국골수은행 이식센터 등록은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이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인정 받은 것인데, 이를 계기로 국내 환자들은 전 세계적인 골수은행 Network을 이용하기가 편리해졌을 뿐만 아니라 보다 폭 넓은 이식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