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23일] KBS 사장선임 방해세력은 누구인가

정연주 사장을 해임하는 과정에서 온갖 혼란을 겪은 KBS 사태가 차기 사장을 선임하는 KBS 이사회에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21일 차기 사장 응모자 24명의 서류심사를 위한 임시이사회는 KBS 일부 직원들이 사무실 출입문을 막으면서 청원경찰과의 격렬한 몸싸움으로 번졌고 결국 이사들은 서울 강남의 한 호텔로 회의장소를 옮겼다가 거기까지 쫓아온 직원들을 피해 다시 KBS로 돌아오는 소동을 치러야 했다. 이 같은 파행은 13일 새 사장을 선임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하려던 임시 이사회에서부터 시작됐지만 앞으로도 쉽게 해소될 것 같지 않다. 과거 참여정부 시절에도 KBS 사장의 임명과 관련해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이 강력한 비판을 한 것은 사실이나 지금처럼 절차 자체를 물리적으로 막으려는 시도는 없었다. 서울행정법원이 정 전 사장이 낸 ‘해임 집행정지 신청’을 이미 기각한 마당에 새 사장을 뽑는 합법적인 절차를 폭력으로 막는 것은 소위 ‘정연주 지키기’라고 보기도 어렵다는 점에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KBS 노동조합까지 그 동안 정 사장의 해임을 주장해왔다는 점에서 KBS 일부 직원들의 행태는 더욱 납득하기 힘들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후 계속되고 있는 KBS 사태는 공영방송으로 거듭나야 할 KBS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공영방송의 우선된 임무가 국민에게 사회적 연대의식을 심는 사회통합기능이며 민주주의를 확고하게 하는 데 있다고 본다면 KBS는 국민 앞에 새로워지기 전에 분열된 내부조직을 먼저 가다듬어 다시 정체성을 확립해나가야 할 입장이다. 따라서 KBS 일부 세력들이 더 이상 법 절차를 훼손하면서까지 새 사장의 임명을 막는 것은 국민 앞에 결코 떳떳하지 못한 일일 뿐 아니라 KBS 스스로에도 득이 되지 않는다. KBS가 ‘국민의 방송’으로 다시 태어나려면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것은 물론 보도에서도 왜곡과 편파가 없는 공정성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KBS가 정권의 나팔수인 관영방송이 아니라 공영방송으로 다시 태어나려면 새 사장의 선임에 편파성이 없어야 하며 이는 민주적인 선임절차가 제대로 보장될 때 가능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