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고용 미스매칭 문제 해결위해 일자리 생성·소멸 담은 지표 개발"

우기종 통계청장

고용주는 사람을 못 구해 걱정인데 취업희망자는 구직을 못하는 이른바 고용 미스매칭 문제를 풀기 위해 정부가 일자리지표를 개발한다. 기업이 어떻게 태어나 성장, 소멸하는지를 장기간에 걸쳐 추적 조사하는 '기업 패널조사' 통계도 만들어진다. 우기종 통계청장은 4일 서울 논현동 경인지방통계청에서 가진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일자리지표(가칭 임금근로일자리행정통계)는 매년 전국에 일자리가 몇 개 있고, 그 일자리가 어떻게 생성됐다가 왜 사라지며, 연령과 성별ㆍ특성별 근로자가 어떤 일자리에서 근무하는지 등을 담게 된다. 첫 통계발표는 내년 상반기 중 이뤄질 예정이다. 우 청장은 "일자리지표를 활용하면 어떤 직업을 선호하는지를 취업희망자의 성별ㆍ연령대별ㆍ특성별로 파악할 수 있고 관련기업에서도 해당 일자리에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 알 수 있어 고용정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 청장은 또 표본기업들을 선별해 해당 기업들의 전생애를 조사하는 기업 패널조사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사는 기업 창업 이후 자본을 어떻게 조달하고 핵심 기술은 어떻게 확보하며 매년 해당기업이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추적해 분석하는 방식이다. 우 청장은 "기업 패널조사를 활용하면 기업의 생애주기에 따라 (기술개발이나 자금조달을 위해) 정부가 어떤 맞춤형 지원정책을 펴야 하는지 알 수 있다"고 소개했다. 우 청장은 이와 더불어 소득 5분위에 따라 맞춤형으로 산정한 계층별 소비자물가지수 개발 여부도 검토하고 있다. 기존의 물가지수는 모든 계층을 통합해 산정하기 때문에 가격에 민감한 저소득계층 등의 물가체감이 동떨어지기 쉽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통계청은 계층별로 소비품목 구성과 소비가중치를 다르게 구성하는 방식과 소비품목은 똑같이 적용하되 가중치만 계층별로 다르게 산정하는 방식 중 어떤 것을 골라야 할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 비용과 인력이 많이 소요돼 예산 여력이 부족하고 후자의 경우 시뮬레이션 결과 되레 저소득계층의 물가상승률이 낮게 산출되는 딜레마에 직면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