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U트레이드 허브' 적극 활용을

무역 프로세스의 개선과 무역업무 자동화를 통한 무역업계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주축이 돼 ‘전자무역’을 추진해 온 지도 어느덧 십 수년이 지났다. 국제(UN)기준을 반영한 문서표준을 정립하고 550여종의 B2G 및 B2B 전자문서를 개발해 오늘날 연간 2억4,000만 건에 이르는 전자문서가 유통되는 방대한 전자무역 인프라로 발전하기까지 그간의 과정은 결코 순탄하지 만은 않았다. 무엇보다 경험부족에 따른 초기의 시행착오와 불확실성으로 인한 무역업계의 관심부족은 ‘전자무역’이 오늘날 연간 4조원을 넘는 국가 중요 인프라로 자리 잡는데 있어 더 많은 시간과 재원을 필요로 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전자무역’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강력해 지난 1991년에 이미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전자무역 전문기업인 KTNET을 출범시킴으로써 ‘전자무역’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해왔다는 점이다. 더불어 2001년에는 ‘전자무역 종합육성시책’을 시행해 웹 기반의 ‘전자무역’을 본격 추진했으며, 2003년에는 ‘전자무역추진위원회’를 설치ㆍ운영하는 등 ‘전자무역’을 정부의 핵심과제이자 차세대 중점 사업으로 추진해 현재 대다수 기업들이 이용하는 범국가적인 인프라로 자리 잡기에 이르렀다. 더욱이 최근에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가 우리나라를 전자무역 환경을 갖춘 최우수국가로 선정하는 등 한국의 전자무역 시스템 수준은 세계적이라 할 수 있으며 아시아는 물론 유럽ㆍ남미 등에 걸쳐 이미 국제표준으로 인정 받고 있는 것을 비롯, 해외국가로의 수출도 폭넓게 추진되고 있다. 이처럼 전자무역은 초기의 ‘무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시작해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명품 브랜드의 하나로 자리 매김하고 있어 ‘전자무역’은 곧 우리의 무역 비전인 ‘무역 1조달러, 세계무역 8강’을 앞당기는 국가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참여정부에 들어 그 중요성이 한층 강화돼 ‘전자무역’을 정부의 핵심과제이자 차세대 ‘코리아 프리미엄(Korea Premium)’ 사업으로 중점 추진하고 있으며, 5월9일에는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풍부한 정보기술(IT)인프라, 무역업계와 관련업계의 지속적인 지원과 노력 등에 힘입어 차세대 전자무역시스템인 ‘u트레이드허브(uTradeHub)'가 새롭게 개통됐다. 이로써 기업들은 한층 업그레이드 된 전자무역시스템을 통해 계약서 작성에서부터 신용장ㆍ적하보험ㆍ선적요청 및 무역대금의 지급에 이르는 모든 무역업무를 인터넷을 통해 일괄처리 할 수 있게 됐으며, 단절 없는 무역 프로세스의 실현을 통한 고비용 구조의 개선과 수출 경쟁력 강화를 기할 수 있게 됐다. 이제 ‘전자무역’은 4만6,455개 무역업체와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VAN/EDI방식과 ebXML방식의 병행서비스를 1년365일 연중무휴로 제공하고 있는 세계 최첨단의 초일류 국가전자무역기반 서비스로, 프로세스 개선과 경비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만도 무려 연간 4조원을 넘는 범국가적인 기간 인프라인 것이다. 21세기는 ‘스피드의 시대’이다. 기업 활동이나 국가의 경제활동에 있어 ‘속도’는 승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국가 간의 무역거래에서도 ‘스피드’는 승패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금이야말로 무역량 증대에 못지않게 무역 프로세스의 개선과 경비절감이 요구되는 때로 무엇보다 수출기업이나 무역업체들의 ‘전자무역’에 대한 과감한 활용이 필요한 시기이다. 정부는 물론 무역업계와 유관기관 모두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전자무역의 영역을 대폭 확대해 국내의 수출입업무 및 정부 인ㆍ허가 업무 중심에서 벗어나 상품의 구매ㆍ조달ㆍ생산은 물론 납품ㆍ물류에서 최종 소비에 이르기까지 기업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돼야 하며, 해외 국가와의 글로벌 연계에도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또한 전자무역에 대한 교육과 홍보의 지속적인 실시와 중소기업에 대한 제도적ㆍ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보다 많은 기업들이 손쉽게 ‘전자무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업들 역시 스스로도 정보화 및 디지털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21세기 ‘속도의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