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추가 대출 힘든데 PF 만기 잇따라

■ 동양건설 법정관리 신청<br>ABCP 등 조만간 갚아야할 돈만 4,000억 넘어<br>금융권 "밑빠진 독 물 붓기"… 기촉법 재등장 기대


동양건설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은 추가 담보제공이 어려운 상황에서 운영자금 부족과 추가적인 PF대출 만기상환 부담이 겹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동양건설산업 입장에서는 삼부토건과 함께 진행 중인 헌인마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한 만기연장이 이뤄지더라도 회사를 정상적으로 굴리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게다가 대주단 설득의 키를 쥐고 있는 삼부토건 측이 동양건설과의 '연대책임, 연대보증'에 대해 거부반응을 보이면서 법정관리 신청을 철회하지 않는 상황이어서 동양건설 역시 일종의 '보험용 카드'로 여차직하면 삼부토건과 함께 법정관리로 사안을 정리하겠다는 계산도 담겨 있는 모습이다. ◇잇달아 밀려들 대출상환 '계산서가 안 나왔나'=동양건설로서는 헌인마을 PF대출에 대해 대주단이 만기 연장을 해준다 해도 잇달아 밀려들 또 다른 PF대출 만기상환은 처리할 방법이 없다. 동양건설이 조만간 만기상환해야 하는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과 PF대출은 헌인마을 2,135억원, 경기도 화성 동탄 파라곤(180억원), 청담 파라곤(290억원), 김포 걸포동 파라곤(696억원) 등 총 4,291억원에 달한다. 헌인마을 PF건이 만기 연장된다 해도 2,156억원에 달하는 자금이 추가로 요구되는 상황이다. 유일한 해법은 건별 만기 연장이 이뤄지거나 아니면 추가 대출을 따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두방안 모두 만만치 않다. 대주단에 르네상스 서울호텔을 추가담보물로 내놓겠다고 밝힌 삼부토건은 만기가 임박한 기업어음(CP) 상환자금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관건이다. 삼부토건은 지난달에만 727억원의 CP를 발행했다. 건설사들이 발행하는 CP는 대부분 만기가 3개월로 현재의 부동산 시장과 건설사들에 대한 실정을 감안하면 앞으로 CP를 사줄 만한 개인이나 기관은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삼부토건 측은 이 때문에 헌인마을 PF 주관사인 우리은행 등 대주단에 추가담보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앞으로 만기가 돌아오는 CP를 모두 대출로 전환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으로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은행 입장에서는 건설사들의 CP 상환자금 등을 위해 추가대출에 나서기가 껄끄럽다. 더 이상의 추가 담보는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대출을 늘린다는 것은 부실 폭탄을 받아들인다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날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양건설산업의 경우 영업권이나 매출채권 등 보유자산을 깡그리 긁어서 추가담보물로 제공하겠다고 성의를 표해왔다는 점에서 추가 대출에 대한 추가담보물은 '제로(0)'라고 보는 것이 맞다. 현재의 꼬인 상황을 놓고 은행권에서는 다시금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재등장을 기대하고 있다. 기촉법이 일몰된 후 자금시장에서는 건설사들에 대해 '현금이나 담보물 외에는 기대할 것이 없다'는 싸늘한 시선만 남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금사정이 어렵다고 알려진 중견 건설사들은 시장에서 차환용 또는 운전자금용 CP 발행이 불가능해 자금부담 압박이 살인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형태의 일이 계속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건설사는 CP 상환용 등 추가자금이 없는 상황에서는 생존이 어렵고 은행은 담보 없이는 CP가 많은 건설사 등에 대해 자금회수나 신용등급 하락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어서다. 특히 저축은행들은 PF 대출 회수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악순환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CP 등 부담이 있는 건설사에 대해서는 신용등급 등을 재조정할 수밖에 없다"며 "이는 건설사들의 자금압박으로 이어지고 건설사는 최악의 경우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돼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들게 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