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전 아파트 미분양사태 심화

신행정수도 특별법 국회 통과에도 불구하고 대전지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1,000세대를 돌파하는 등 지역 부동산시장 침체국면이 확대되고 있다. 11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대전지역 아파트 미분양물량은 1,117세대로 늘어 지난 2002년 11월말 1,019세대를 기록한 이후 13개월만에 처음으로 1,000세대를 넘어섰다. 지난해 이 같은 대규모 미분양이 발생한 것은 지난해 12월 우남건설과 한신공영의 아파트 분양이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우남건설은 중구 사정동에서 분양한 561세대중 387세대를 미분양 물량으로 남겨야 했고 한신공영은 대덕구 비래동 재건축 아파트 분양에 나섰으나 448세대중 고작 14세대를 분양하는데 머물러 부동산시장 침체의 분위기를 반영했다. 더욱이 이러한 미분양 사태는 올해 대전지역에서 공급될 아파트 물량이 예년 평균 1만3,000세대 보다 2,000세대이상 많은 1만5,000세대를 넘을 것으로 보여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지역경제 회생의 먹구름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여기에다 대전지역에 부과된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부동산 가격 안정조치 등은 앞으로도 아파트 분양 및 거래 등을 크게 제한할 요소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부동산 업계는 지난해 하반기이후 빠지기 시작한 아파트 매매가격이 행정수도 특별법 통과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미분양 물량이 더욱 늘어날 경우 아파트값 하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부의 각종 부동산 대책이 아파트 시장 안정에 효과를 발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아파트값 인상에 대한 기대가 낮아지고 있다”며 “올해는 실수요자 위주로 아파트 분양이 이뤄지면서 지역에 따라 상당물량의 미분양 아파트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hypark@sed.co.kr>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