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여성 10명 중 4명 "결혼은 선택"

작년 출생아 수 최저…결혼·출산 후 경력단절 여전

서울 여성 10명 중 4명은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서울시의 ‘통계로 본 서울여성의 삶’ 자료에 따르면 2012년을 기준으로 만 13세 이상 서울시민 중 결혼은 선택사항이라고 답한 경우는 여성(39.9%)이 남성(27.9%)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은 남성(68.5%)이 여성(56.3%)보다 높았다.

서울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취업 지연,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으로 1993년 25.7세에서 지난해 30.4세로 4.7세 높아졌다.

주 혼인연령층인 25∼39세 서울여성 중 미혼 비율은 1995년 19.7%에서 2010년 48.3%로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평균출산연령도 1993년 28세에서 2012년 32.3세로 4.3세 늦어졌다. 특히 지난해 출생아 수는 8만 3,900명으로 1993년 17만 5800명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만 20세 이상 서울여성들은 2011년 저출산 문제의 원인으로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1위로 꼽은 바 있다.

서울소재 대학의 대학생 중 여대생 비율은 지난해 46.8%(26만 2000 명)를 기록했다.

25세 이상 여성 중 대졸 이상 학력 비율도 2010년 41.1%(148만 3000 명)을 차지했으며, 특히 25∼39세 여성 중 대졸 이상 비율은 70.7%(92만 5000 명)로 집계됐다.

여성 취업자 수는 2000년 192만 4000 명에서 지난해 224만 6000 명으로 13년 새 16.7% 늘었지만, 결혼·출산·육아로 경력이 단절되는 형태는 여전했다.

서울시민 중 45.4%는 지난해 결혼·출산과 관계없이 여성이 지속적으로 일을 해야 한다고 답했지만, 실제로는 15∼54세 비취업 기혼여성 74만 5000 명 중 43.1%가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됐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