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개발硏, 중국자본 유치 한ㆍ중 중소기업 매칭으로 풀어야

중국자본 유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한․중 중소기업 매칭을 통한 유치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수행 연구위원은 11일 ‘중국자본의 경기도 유입특성 및 활성화 방안’을 통해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등 중국자본 유치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기도가 중국자본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기업에 무엇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중국의 수요를 파악하지 않은 우리만의 중국기업 유치 전략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중국자본 유치 전략 3가지를 제시했다.

관련기사



이 연구위원은 우선 한중간 중소기업 매칭을 통한 중국자본 유치 전략을 주장했다. 생산적인 측면만을 고려한 중국자본 유치 전략은 무의미하다는 판단 하에 중국기업은 본사의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하고 경기도 기업은 중국의 시장접근 기회 및 자본을 확충하자는 것이다.

그는 또 경기북부 접경지역에 중국기업의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교두보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안정을 촉진하는 산업단지형 중국자본 유치를 추진하자는 것이다.

또 경기도 서해안 지역에 중국인 관광객 유치, 한중간 산업네트워크 구축 및 중국기업의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호텔, 카지노, 비즈니스 업무 등이 결합된 서비스산업 집적지구 형태의 중국자본 유치 방안도 제안했다.

그는 “중국은 이미 G2로 부상했고, 머지않아 미국을 추월할 시점에서 중국자본에 대한 이분법적인 시각보다는 중국자본을 매개로 중국시장에 대한 접근기회를 확충하고, 국내경제 활성화로 연계시키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지난 2011년 연간 해외직접투자(ODI) 금액이 746.5억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9위의 투자국으로 부상했다.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중국자본 유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중국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 규모는 2011년 기준 중국 ODI 총액 대비 0.4%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대부분 서비스업 위주의 소규모 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