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의 대표 CEO] 김반석 LG화학 부회장

스피드 경영… 위기에 강한 회사로 키워<br>대표이사 맡은후 영업익 6배 성장<br>직원들 의사결정·실행속도 빨라져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대학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오랫동안 LG화학에 몸담아온 '정통 화학맨'이다. 그는 LG화학의 대표이사를 맡은 2006년 이후 회사의 영업이익을 6배 성장시키는 등 매해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시가총액도 10배 이상 불리며 LG화학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화학기업으로 키워냈다. 특히 전기자동차 배터리 분야에서 세계 1위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LCD(액정표시장치)용 유리기판 사업도 적극 추진하는 등 미래 신사업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김 부회장의 생활철학은 '무실역행(務實力行ㆍ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 이를 반영하듯 그는 LG화학의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한 이후 '강한 변화'를 이끌고 있다. 취임 당시 고유가와 환율하락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화학산업 전체가 사면초가에 놓였다. 하지만 단기적인 조치를 배제하고 사업의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와 조직문화 변혁 등 근본적인 변화에 시동을 걸었다. 가장 먼저 실시한 것은 임직원들의 모든 의견을 수렴해 비전과 공유가치를 만든 것. '차별화된 소재와 솔루션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세계적 기업'이라는 비전이다. 약 5개월 동안 전사 465개팀 1만1,000여명의 임직원들이 비전회의에 수 차례 참가해 만들었다. 비전달성을 위한 '스피드(Speed) 경영'도 본격 선포했다. 사업의 변화 속도와 사람의 변화 속도를 두 배로 해 비전을 성공적으로 달성한다는 것이 그 핵심. 화학회사의 CEO답게 'E(성과)=M(자원)×C(속도)²'의 물리학 공식을 응용, 속도가 두 배면 성과는 4배로 급증하지만 반대로 속도가 2분의 1이 되면 성과는 4분의 1로 약화된다며 빠른 실행력을 강조했다. 그 결과 모든 임직원이 스피드 경영에 깊게 공감하고 적극 동참하면서 의사결정과 실행 속도가 빨라졌다. 결국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기에 강한 체질을 갖추게 됐다. 이와 함께 김 부회장은 LG화학의 핵심사업 역량을 중심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미래 신성장동력을 발굴해 구체화하는데 역점을 두면서 가시적인 성과도 이끌어 냈다. 석유화학부문에서는 지난 2008년 코오롱의 SAP(고흡수성수지) 사업을 인수해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 또 최적의 공장가동률과 에너지 절감 등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강화하고 고부가 제품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LG화학이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는 김 부회장이 직접 진두지휘하며 세계 1위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미국 포드, 중국 장안기차, 유럽의 르노와 볼보 등과 공급계약을 체결, 총 10여개 이상의 세계 유수 자동차 업체를 고객으로 확보했다. LCD용 유리기판 사업에도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 2009년 하반기부터 공장건설에 착수해 현재 시험 가동 중이다. 내년 초에는 1개 라인을 완공해 상업생산을 시작, 2018년까지 총 3조원을 투자해 단계적으로 생산라인을 건설해 나갈 계획이다. 김 부회장이 불고 온 변화의 바람은 경영실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LG화학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지난 2008년 순익 1조원 달성에 이어 2009년에는 영업이익 2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에는 순이익 2조원을 돌파하는 등 매해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국내 대표화학기업에서 세계 화학산업을 주도하는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LG화학 관계자는 "김반석 부회장 취임 후 우리 임직원들의 눈빛이 확실히 달라졌다"면서 "어떠한 일이 닥쳐도 두려움 없이 해결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은 만큼 우리의 비전달성은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다들 자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He is
▦1949년 서울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1997~2000년 LG화학 폴리에틸렌 사업부장(상무) ▦2000~2001년 LG화학 ABS/PS 사업부장(부사장) ▦2001~2005년LG석유화학 대표이사 ▦2005~2006년 LG대산유화 대표이사 ▦2006년~2008년 LG화학 대표이사 ▦2008년~ LG화학 대표이사(부회장)
"배터리 다 닳기전에 퇴근해 충분히 충전해라"
●金부회장의 경영論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퇴근을 '배터리 충전'에 비유한다. LG화학의 주력제품이기도 한 배터리는 방전돼 빨간 불이 들어오면 쓰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김 부회장은 직원들에게 배터리가 다 닳기 전에 퇴근해 충분히 충전을 하라고 독려하고 있다. 이는 '사람이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라는 김 부회장의 경영철학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자기 몸이 상하는 것은 바로 회사 자산을 상하게 하는 것과 똑같다"고 강조, 충분히 쉬면서 신바람 나는 분위기에서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훌륭한 일터 만들기'다. 훌륭한 일터는 지난 1980년대 미국의 로버트 레버링 박사가 제시한 개념으로, 직원들이 경영진을 신뢰하고 일에 자부심을 느끼며 동료간에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곳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김 부회장은 '사원들과의 대화'에 나서고 있다. 매주 해당 팀을 직접 찾아가 조그만 회의실에서 사원들과 허물없이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또 대화 내용을 '사원과의 대화' 게시판에 올려 모든 사원들이 최고경영자(CEO)의 생각을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사무실에 출퇴근할 때에도 사원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서 직접 직원들과 대화하는 것을 즐긴다. 김 부회장은 또 직원들이 일에 대한 자부심과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핵심업무에 대한 집중과 보고ㆍ회의 문화 쇄신을 강조하면서 솔선수범하고 있다. 중요한 경영회의를 주재할 때는 2~3일 전에 안건내용을 회의 참석자들에게 배포해 회의는 토론 및 의사결정 위주로 진행하는 것. 또 취임 초부터 "좋은 내용은 보고하지 않더라고 향기가 되어 알려지게 되어 있다"면서 "문제가 있을 때만 CEO를 찾아와 보고하라"고 지침을 내린 일화도 유명하다. 빠르게 변하고 있는 소재산업의 특성상 LG화학이 빠른 속도로 경쟁력을 쌓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보고 업무를 줄여서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얘기다. 요즘은 이런 보고 문화가 정착돼 김 부회장은 결재할 일이 거의 없어졌다. 최근 3개월 동안 10건 정도의 결재를 했을 정도다. 하지만 언제든 문제가 생기면 누구라도 대면보고가 아닌 전화로도 연락을 할 수 있게 했다. 이런 노력으로 LG화학은 경영전문지 포천(FORTUNE)이 선정한 '일하기 좋은 한국기업'에서 3년 연속 제조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 지난해에는 신설된 최고경영자상을 김 부회장이 수상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